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자료분석학회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9권 제6호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3,103 - 3,119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직업력(work history)자료를 이용하여 직무의 숙련(skill)을 기준으로 노동시장을 1차(primary labor market)와 2차(secondary labor market)로 구분하고, 기업규모를 추가하여 4가지 시장유형으로 구분한 후 각 노동시장간 전환에 따르는 제약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dualism)를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해자드확률(hazard rate)을 추정하는 기간분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는 첫 일자리 배치가 학력수준에 따라 할당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하지만 노동시장 진입이후 학력요인은 일자리 이동에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동시장간 단순 전환율 분석결과에서는 노동이동 결과 2차·중소기업군 시장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가장 높았고, 상향 노동시장으로 이동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과 직업특성이라는 이질성을 통제한 해자드모형 추정결과에서는 모든 모형에서 gamma가 양의 값을 보임에 따라 현재 노동시장을 벗어날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숙련수준과 기업규모별로 상당히 경직적이어서 일자리 이동에 제약이 따르고 일자리 이동을 통해 상향 노동시장으로의 전환이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