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동양고전연구 제60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255 - 281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北宋의 司馬光(1019~1086)은 新法에 반대하고 舊法을 주창한 정치인이며 󰡔資治通鑑󰡕, 󰡔家範󰡕 등의 저자이다. 한반도의 문사들에게 사마광은 지혜롭고 덕이 높은 정치인으로, 禮와 正名을 중시한 유학자로, 주자학의 기틀을 세우고 朱熹의 추앙을 받았던 성현으로, 탁월한 문장력의 문인으로 높이 평가되었고 꾸준히 그림으로 표현되었다. ‘擊瓮圖’는 사마광의 어린 시절 용기와 지략을 그린 것으로 고려로부터 조선말기까지 감상된 그림이다. 다만 현전작이 없어 조선시대 입수되었던 중국의 󰡔新增圖像小學日記故事大全󰡕,에 실린 삽도로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사마광의 정원을 그린 ‘獨樂園圖’는 사마광의 「獨樂園記」와 「獨樂園七詠」을 반영한다. 조선중기 李滉의 고사인물병풍의 한 주제에서 비롯하여 金錫冑가 본 明代 仇英(1494-1552)의 <獨樂園障子>, 兪漢雋이 감상한 宋朝六賢의 한 사람으로 독락원의 사마광이 그려졌다. 조선후기작으로 현전하는 <독락원도>들(국립중앙박물관, 야마또분가칸)이 구영의 <독락원도>들(클리블랜드 뮤지엄, 화정박물관)과 연관성이 높으며 이들은 화려하고 이상적인 정원경을 주제로 한다. 사마광의 肖像은 深衣와 복건의 복식 예법을 주제로 하여 수백 년의 담론이 이루어진 것을 살펴 현재 鄭敾이 화첩류 속 사마광이 심의와 복건으로 그려지지 않은 점에서 그 진작여부나 주제파악의 재고를 제안하였다. 사마광의 이미지화는 보편적 교육의 지속, 학문적 경향이나 예법의 문제, 물질문화의 반영 등 역사적 특성이 반영되어 유행하는 이미지가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서 역사적 실존 인물에 대한 관심과 표현 속에는 당대의 현실적 요구에 상응하는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그것이 역사 속 인물에 대한 기억으로 정착되었던 흥미로운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