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정, 김창근. 1년간의 운동 트레이닝이 중년 남성의 공복혈당장애 개선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 지표 및 유산소성 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4권 제2호, 203-214, 2005. 이 연구는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이 높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1년 동안 유산소운동과 저항성 운동을 복합 처방한 운동프로그램의 장기 시행에 의한 심혈관 질환 예방효과를 검증하고공복혈당 장애 상태가 트레이닝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대사 장애가 없는 정상 트레이닝군(n=40), 공복시 혈당장애를 나타내는 IFG 트레이닝군(n=18), 대조군(n=32) 으로 구성된 중년 남성 90명(41-57세)을 대상으로 1년간 유산소성 운동(최대산소섭취량의 60-70%의 강도로 1일 30분씩 트레드밀 달리기)과 저항성 운동(1RM의 60-70%로 8회 반복하여 매회 3세트 시행)을 복합한 운동 트레이닝을 주당 3회 실시하였으며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인 허리 둘레, 혈압, 공복시 혈당, 혈중 중성지방, 혈중 고밀도 지질 농도, 최대산소섭취량, 무산소성 한계점(AT) 등을 측정하였다. 1.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 변화를 분석한 결과 트레이닝에 의해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와 혈중 중성지방이 감소되고 HDL-C 농도가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IFG group인 경우에도 정상인과 같은 수준으로 TG와 HDL-C 농도가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냈다(p<.05). 2. 운동 트레이닝 수행 후 정상 트레이닝군과 IFG 트레이닝군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과 무산소성 역치가 증가하였다(p<.05). 3. 유산소성 운동능력과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은 연령, 체중, 허리둘레 및 TG와 상관을 보였으며 무산소성 역치(AT)는 체지방과 TG, HRmax는 연령, DBP(이완기 혈압)와 상관을 나타냈다(p<.05).이상의 결과를 통해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을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규칙적으로 장기간 수행할 경우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지표들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각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유산소성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고 혈중 지질을 개선하며 복부지방을 감소시키는 트레이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는 장기간의 운동 트레이닝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 위험지표 개선 효과는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이 높은 공복혈당 장애 환자인 경우에도 정상인과 유사한 수준의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Kim, H.J., Kim, C.K. Effects of one year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impaired fasting glucos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aerobic exercise capacity in middle aged men. Exercise Science, 14(2): 203-214, 200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ne year exercise training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lood glucose and aerobic exercise capacity in middle aged men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level. The subjects (90 males, 41 - 57 years) were divided to Control (n=32), Normal (training, n=40), and IFG (impaired fasting glucose concentration, n=18)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raining or IFG.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triglyceride, HDL-cholesterol, VO2max (maximal oxygen uptake), AT (anaerobic threshold) and HRmax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fter one year of exercise training. Aerobic exercise training consisted of treadmill running at 60-70% of VO2max (30 minutesㆍday-1, 3 daysㆍweek-1) and resistance training performed three sets of lifts using 60-70% of 1RM to complete each of 8 rpt/set (3 daysㆍweek-1) during one year. Waist circumference, triglyceride, HDL-cholesterol, VO2max, AT in Training group (Normal and IGT group) were changed significantly by training (p<.05) and there was no differences of training effect between those two groups. But, al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aerobic exercise capacity in Control group were unchanged after one year. On the other hand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erobic capac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aist, blood pressure, and triglyceride, p<.05). These results support that long term exercise training program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training can be effective regimen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in middle aged men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