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세월호 참사를 통해 본 한국인의 트라우마와 치료적 신화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연세상담코칭연구
2015 .03
세월호 광장의 공동체적 치유의 힘
연세상담코칭연구
2017 .03
사회적 트라우마의 돌봄을 위한 「트라우마 상징」 연구
목회와 상담
2017 .01
사회적 참사를 기억하고 애도하는 방식 고찰 -영화 〈악질경찰〉과〈생일〉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1 .10
세월호 참사의 정치경제학 비판
인물과사상
2016 .05
세월호 참사 재난 조사를 성찰하고 과제와 마주하다 - 박상은, 『세월호, 우리가 묻지 못한 것』
문화과학
2023 .03
트라우마의 목회신학과 상담
목회와 상담
2017 .01
재난 이후 인문학적 실천 — 세월호의 ‘바람’에게
인문논총
2020 .01
세월호 참사와 치유적 글쓰기 : 『금요일엔 돌아오렴』, 『다시 봄이 올 거예요』, 『엄마. 나야.』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7 .09
트라우마 생존자를 위한 기독교상담적 돌봄과 치유 방안 연구
신학연구
2023 .06
참사 이후의 참사는 누구의 책임인가?
문화과학
2016 .06
심리적 트라우마의 정보처리 : 뇌생리학적 근거와 트라우마 내러티브
인간·환경·미래
2015 .04
트라우마 집단상담을 위한 목회상담적 제안
목회와 상담
2021 .11
[참사 10주기 기록] 유가족·생존자·시민이 마주한 10년 _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록
월간 옥이네
2024 .04
장애 트라우마의 시적 인식과 치유-『빈집에서 겨울나기』의 자기분석-
문학치료연구
2024 .04
[세월호 9주기] 세월호 참사 9주기 “곁을 만드는 시간” :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는 옥천사람들 모임 인권기록활동가 유해정 초청 강연
월간 옥이네
2023 .05
세월호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시적 주체의 능동적 역할 -세월호 ‘생일시’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2021 .10
Trauma and Pastoral Piety: Conceptualization of a Framework for Ecclesial Spirituality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9 .07
세월호 참사와 공감의 윤리
기독교사회윤리
2020 .01
트라우마 생존자와 트라우마 공동체를 위한 목회 돌봄과 상담
목회와 상담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