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장자』의 ‘無用之用’에 함축된 철학적 의미 분석
동양철학연구
2024 .02
지식 생산과 전파 · 수용에 따른 지식 권력 연구 방법론
한국민족문화
2018 .02
지식의 유형과 국어과의 지식 범주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18 .01
마카리아와 이상적 지식
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
2015 .01
조선시대 類書류 연구방법론과 디지털인문학-지식학적 접근과 지식지도 구상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2018 .01
The Chinese Repository 와 The Middle Kingdom의 상관성 연구 : 19세기 서구의 대(對) 중국 지식 체계화 과정에 대한 검토
중어중문학
2015 .0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 기반 대학 교양교육 지식체계에 대한 성찰적 고찰
인문과학연구
2020 .01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지식 체계화 양상 연구
언어학 연구
2018 .10
인문공학론(3) 지식공간과 디지털기억의 알고리즘
한국언어문학
2017 .01
초등학생을 위한 장르 지식의 활용 방향 탐색 - 내용 지식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20 .01
The Role of Accessibility of Word Knowledge in L2 Reading Comprehension
응용언어학
2021 .03
해양을 기반으로 한 전통지식의 전승 양상과 가치
도서문화
2020 .06
역사 수업을 위한 교사 지식의 연구 동향과 과제
역사교육논집
2016 .01
지식의 개념과 형성 과정에 대한 검토
日本學硏究
2023 .01
지식의 유형과 지식 지형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방법론
인문연구
2018 .06
Social Knowledge and Semantic Content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8 .12
장재 지식론의 특징과 그 모호성― 견문지와 덕성지의 문제를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22 .05
농민의 풍우(風雨) 인식에 나타나는 지식의 혼종성 : 『평택 대곡일기』(1959~1979)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015 .07
두 명의 초보 초등 영어 교사의 개인적 실천 지식의 형성 및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