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서론
2. 여성작가의 시선
3. 남성작가의 시선
4. 결론
참고문헌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자이융밍(翟永明) 시의 ‘검은 밤의 의식’과 죽음 콤플렉스 ―연작시 “여인”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24 .09
전후 오키나와 사회의 구조변화와 미군정 -자치기구의 변화를 중심으로-
역사교육
2024 .06
여성 모빌리티 관점에서 본 제주와 오키나와
도서문화
2024 .12
피해/가해의 틀을 흔들며 출몰하는 오키나와의 조선인 —가해자들의 ‘말하기’, 그 기점으로서의 오키나와—
사이間SAI
2019 .01
오키나와 공동체의 역사 인식과 문학적 재현-大城貞俊 소설 「六月二十三日 アイエナー沖繩」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2020 .08
오키나와의 아리랑―미군정기 오키나와의 잔류 조선인들과 남북한
대동문화연구
2015 .01
오키나와의 전적지와 기지를 둘러싼 역사실천의 변용 - 위령 순례에서 오키나와 수학여행까지
도시연구
2020 .07
[한국측] 오키나와에서 함께 부르는 노래
한국여성신학
2020 .07
한일 근대 여성작가의 탄생과 정체성 연구
어문론집
2016 .06
폐번치현(廃藩置県) 이후 오키나와의 신사(神社)와 토착종교 간의 문화적 혼종성
비교민속학
2018 .04
오키나와의 ‘피와 뼈’ -조선인과 류큐인 유골 문제-
한민족문화연구
2020 .01
오키나와 폭력에 대한 문학적 보복과 ‘오키나와 리얼리즘’ —메도루마 슌의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2017 .02
마이너리티의 역사기록운동과 오키나와의 일본군 ‘위안부’
대동문화연구
2020 .01
지역공동체에서 평화공동체로 가는 상상력 ―마타요시 에이키 초기소설의 의미
탐라문화
2017 .06
마타요시 문학 속의 ‘조선인’ 표상 연구 -『긴네무집』을 중심으로-
日本語敎育
2022 .06
朴壽南映画の表現手法の特徴 -「아리랑(アリラン)のうた―オキナワからの証言」、「ぬちがふぅ(命果報)―玉砕場からの証言」と「沖縄スパイ戦史」の比較を通して-
일본문화학보
2022 .08
日本映画にみる沖縄戦の集合的記憶と歴史認識 - 映画「ひめゆりの塔」(1953)と「沖縄スパイ戦史」(2018)を中心に -
일본문화학보
2021 .05
신여성과 패션 그리고 오스카 와일드의 미학론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8 .08
오키나와 공동체 자립 담론의 향방 -오시로 다쓰히로의 ?신의 섬???후텐마여?를 중심으로
탐라문화
2021 .01
[일본측 발제] 오키나와로부터의 목소리: 예술의 힘
한국여성신학
201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