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Jeong Won Lee (Yonsei University)
저널정보
한국경영학회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한국경영학회 2019년 제21회 융합학술대회
발행연도
2019.8
수록면
1,040 - 1,087 (4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조직 연구에서 직원들이 동시적으로 갖고 경험하는 다중정체성(multiple identities) 관련 연구가 중요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다중정체성 연구들은 주로 조직동일시, 직업정체성과 같이 업무 영역과 관련된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최근 잦은 경력이동, 기술발전 등에 기인한 조직 및 사회 변화들은 조직 및 업무 영역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있으며, 직원들은 점차 조직 밖에서의 자신의 소속, 역할 및 관련 정체성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이렇게 업무(work)-업무 외(nonwork) 정체성들 간 상호작용 및 관계가 복잡해지면서 조직과 직원들은 이를 잘 다루고 관리해야 하는 새로운 상황에 놓여있지만, 이러한 역동이 조직에서 실제 어떻게 나타나고 관리될 수 있는지에 대해 밝혀진 바는 매우 적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정체성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중요한 업무외 정체성의 하나로, 직원들이 사회의 시민으로서 가지는 “시민정체성(civic identity)”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시민정체성이란, 자신을 사회공동체의 구성원이자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시민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원들의 시민-직원으로서의 다중정체성이 조직 내 그들의 동기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정체성 이론에 기반을 두어, 시민-직원 정체성이 서로 조화로운지(identity enhancement) 갈등적으로 경험되는지(identity conflict)에 따라 직원들의 역할 수행 프로세스인 직무열의(work engagement) 및 역할확장(role expansion)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조직 내 긍정적 변화 지향 행동의 대표적 행동인 발언행동(voice behavior)에 상이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이론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현장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국내 대기업 그룹사를 대상으로 직원-상사 매칭된 339명의 데이터를 수집, 연구 2에서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에서 직원-선임동료가 매칭된 121명의 데이터를 3차에 걸쳐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수준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두 연구에서 모두 연구가설이 전반적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들은 조직에서 자신의 시민-직원 정체성을 조화롭게 경험할수록 더 높은 직무열의와 역할 확장을 통해 조직에 긍정적인 발언행동을 더 많이 보였고, 두 정체성 간 갈등을 경험할수록 직무에 대한 열의 및 역할 범위가 감소하고, 결국 조직에 건설적인 발언행동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인 분석으로 시민-직원정체성을 아예 분리하는 정체성 분리(identity separation)의 효과를 탐색하였는데, 정체성을 분리하는 직원일수록 직무열의, 역할확장, 발언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갈등상황보다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기존의 다중정체성 및 발언행동 연구에 본 연구가 기여하는 바와, 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업무 외 정체성의 하나인 시민정체성을 다중정체성 연구에 통합하여 조직 연구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밝혔으며, 업무 관련 정체성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조직 현상을 보다 확장하여 살펴보게 하는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 조직에서는 직원들의 시민-직원정체성 간 조화와 시너지를 높이고 갈등과 분리는 낮출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THEORETICAL BACKGROUND
HYPOTHESES DEVELOPMENT
STUDY 1: METHOD
STUDY 1: RESULTS
STUDY 2: METHOD
STUDY 2: RESULTS
DISCUS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24-000982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