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첫 번째 국서: 침공 이유
Ⅲ. 두 번째 국서: 병란의 귀책사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통일신라기 州 治所城의 구조와 물자유통-全州 東固山城을 중심으로-
백제문화
2017 .02
高麗 對蒙抗爭期 金允侯將軍의 3次例 勝戰의 意義
백산학보
2019 .01
아직도 우리는 남한산성에 갇혀있는가
철학과 현실
2017 .12
Peace Treaty versus Democratic Peace as a Peace Building Measure in Northeast Asia
Korea Observer
2021 .09
평화의 감성과 개념의 은유적 이해
담화와인지
2020 .02
6~7세기 국제정세의 변동과 익산
마한백제문화
2024 .06
가톨릭의 평화사상과 평화권 연구 -한국사회의 새로운 평화원리 구상
가톨릭철학
2020 .01
寧越 正陽山城의 발굴조사 성과와 과제
선사와 고대
2021 .01
병자호란에 대한 기억의 왜곡과 그 현재적 의미
역사와현실
2017 .06
Advancing Peace Linguistics: A Holistic Approach Integrating Galtung’s Theories and Linguistics
영어학연구
2024 .08
The Korean Peace Agreement and the Korean Peace Regime: A Concrete Draft for Perpetual Peace in Practice
Korea Observer
2021 .01
조선후기 雙樹山城의 군사편제와 병력운영
사학연구
2016 .03
거짓 평화와 참 평화 : 미가 4장 1-5절을 중심으로
구약논단
2018 .12
정의로운 평화(Just Peace) 개념의 이론적 고찰 ― 세계교회협의회(WCC)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22 .04
世宗市 百濟 雲住山城의 築造와 運用
선사와 고대
2019 .01
병자호란 연구의 제문제
韓國史學史學報
2017 .01
남송 전기 ‘태평 분식’의 정치적 배경과 전개 양상
동양사학연구
2019 .12
정묘호란 직후 '이인거의 난' 연구
[TCHCCOS] 서울과 역사
2017 .06
강원지역 입보용 산악산성의 현황과 특징
백산학보
2024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