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머리말
2. 조선시대의 사실과 인식
3. 현대의 이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龍州 趙絅의 대외인식과 斥和論
南冥學硏究
2015 .01
论“丙子之役”后朝鲜对清朝关系的实态 -以贡物变化情况为视角-
한중인문학연구
2015 .01
자초한 전쟁이 아닌, 피할 수 없었던 전쟁 ― 병자호란의 성격과 역사적 의미에 대한 새로운 해석 [서평] 허태구(2019), 『병자호란과 예, 그리고 중화』, 소명출판, 387쪽.
인문논총
2019 .01
병자호란 實記로 본 扈從臣과 勤王兵의 응전 양상
동양고전연구
2024 .09
권도론(權道論) 연구 : 최명길의 ‘주화(主和)’를 중심으로
양명학
2016 .08
朴淵의 노힐부득 달달박박과 說話移住의양상과 의미
어문연구(語文硏究)
2018 .01
병자호란 연구의 새로운 定礎 [서평] 구범진(2019), 병자호란, 홍타이지의 전쟁, 까치, 403쪽.
인문논총
2019 .01
같은 전쟁 다른 기록 - 병자호란 초기 홍타이지의 국서와 조선의 국가정체성 문제 -
동양사학연구
2019 .06
최명길의 사문록(思問錄)에 나타난 사서해석 경향과 사상적 특징 (Ⅱ) - 「대학기의(大學記疑)」, 「대학관견(大學管見)」을 중심으로
유학연구
2016 .05
병자호란 연구의 제문제
韓國史學史學報
2017 .01
만주어 표기에 반영된 만주어와 한어의 구개음화
언어학
2018 .04
『병자일기』의 독서 시간과 서사성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0 .01
역사적 기억은 어떻게 전유되었는가? — 1930년대 봉천 조선인 사회와 삼학사 —
개념과 소통
2020 .01
지리지(地理志)에 기록한 전란(戰亂)의 공간적 치유와 그 의미 -홍경모(洪敬謨)의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2024 .01
조선시대 胡亂 被擄人과 두 딜레마
율곡학연구
2022 .12
滿文 일기 《閒窓錄夢》을 통해 본 보오이(booi)의 삶과 정체성
중국문학
2019 .01
A study of the influence of Mandarin Chinese on Spoken Manchu
알타이학보
2021 .01
두 조선 사행의 외교 활동과 명의 대응 -1627년의 김상헌과 1637년의 김육-
대구사학
2022 .08
Peace Treaty versus Democratic Peace as a Peace Building Measure in Northeast Asia
Korea Observer
2021 .09
白石 柳楫의 의리정신과 의병활동
孔子學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