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들머리
Ⅱ. 연구방법 및 가설
Ⅲ. 연구결과 및 교육적 의의
Ⅳ.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준비된 말하기와 즉흥적 말하기 구분과 교육에의 활용 가능성
우리말연구
2020 .01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유창성이 한국어 원어민의 언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언어학
2022 .06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수업 연구-학습자 간 유창성 평가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021 .08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의 정의적 변인이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국어교육연구
2022 .1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과 유창성 연구
이중언어학
2017 .01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접촉 양상이 구어 유창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태국인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언어학 연구
2015 .04
발화 상황이 말하기 유창성과 정확성의 상충 효과에 미치는 영향
언어와 정보사회
2017 .01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과제에 나타난 유창성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01
자연 학습 환경에서의 L2 한국어 통사 발달과 학습자 변인에 대한 횡적 고찰
이중언어학
2017 .01
담화 분석 사례 연구 — 즉흥적 말하기에 드러난 거시구조 산출을 중심으로 —
한글
2020 .06
중국어 말하기 과제유형에 따른 유창성 비교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0 .01
How to improve speaking skills and fluency using diverse materials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12
한국어 교육의 流暢性 槪念과 構成 要因
국어국문학
2015 .06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Styles, Learning Strategies and EFL Learners’ Speaking Fluency
영어영문학21
2018 .01
EFL 환경에서 구어발표를 통한 영어 발화의 유창성 향상 방안
언어과학연구
2015 .12
과제 수행 중심 말하기 모델로서의 ‘한국어 마을’ 사례 연구
한국민족문화
2018 .05
Exploring a Reading-Based Speaking Task for Developing Fluency in an EFL University Setting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15 .01
모국어의 운율 특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운율 형태 분석 - 음운구와 억양구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020 .01
담화 전개에 드러난 의미연결 타개 현상 고찰
우리말글
2021 .06
モノローグ型タスクにおける日本語学習者の流暢さ研究 - 時間的要素と非流暢性要素を中心に-
일본어학연구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