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여는 글
2. 언어의 코드: 귀천(貴賤), 강력(强力), 영속(永續)
3. 기억의 코드: 구원, 효, 부채감
4. 맺는 글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감각에 사로잡힌 몸의 발견과 재현 - 북한 단편소설 렴예성의 『사랑하노라』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
2023 .06
이중적 권력기제, 몸 정치의 발생: 태국 북한식당 공연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
2019 .01
북한 영화예술의 세계
현안보고(이슈페이퍼)
2018 .06
북한 정치 선전 포스터 디자인의 역사적 변천으로 형성된 북한 스타일 (1945-2019) -시대구분으로 본 북한 선전화의 창작과 그 특징-
Design Works
2019 .04
김정일 집권기 미국영화 속 북한 표상
영화연구
2024 .06
북한 산업미술의 전개과정 고찰 : 1994~2015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2015 .12
예술영화를 통해 본 김정은시대 북한 영화의 변화 양상
영화연구
2025 .03
북한태권도의 문화유산 내용과 특성 연구
무예연구
2018 .11
한국전쟁기 중국에서의 북한영화에 관한 연구
현대영화연구
2016 .01
북한영화의 국제교류 관계연구(1972~1994): 소련, 동유럽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021 .10
북한에서 서양무용의 배제와 포섭에 대한 고찰 - 2000년대 이후 발레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
2019 .06
북한영화의 국제 교류 관계 연구(1945-1972): 소련·동유럽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0 .12
스코핑 고찰을 활용한 2005~2023년 북한음악정치 연구동향 분석 - 등재학술지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
2023 .12
북한 미술연구, 정부가 지원하라!
아트인컬처
2022 .01
한국전쟁 이후 북한영화의 제작 및 중국에서의 상영(1955∼1960)
영화연구
2019 .12
북한체제성립기 아동가요의 계승과 전망
국악교육
2020 .12
월경(越境)음악의 문화번역: 동시대 남한 전통음악계의 북한음악
이화음악논집
2020 .01
교류·관계사적 측면에서 바라본 남북한 영화의 상호 표상 (1980∼1994)
영화연구
2023 .12
1960년대 북한 산업미술의 양상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3 .05
1960년대 북한영화 속 미국 표상 연구
영화연구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