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 하나의 큰 틀로 보기
봉오동·청산리전투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 소비
요동쳤던 전투에 대한 한국 사회의 집단기억
‘독립전쟁’은 운동의 방법(형태)이자 종합 전략이었다
임시정부는 미일전쟁의 가능성을 낙관하였다
임시정부는 독립군 단체의 성격을 조정하며 통일해가고 있었다
1919, 20년 시점의 봉오동은 동만주의 독립군 기지였다
봉오동전투 후 대한북로독군부는 사실상 해체되었다
청산리전투 당시 독립군은 크게 세 갈래로 움직였다
독립군이 두 차례 연속으로 큰 전투를 치를 수 있었던 원동력은?
좌절된 1920년의 독립전쟁론과 두 전투의 승리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청산리전투의 재현 -독립기념관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0 .01
[앉아서 하는 한국사 여행] 무장독립운동의 서막, 봉오동 전투
유레카
2019 .06
미래 육군의 전투개념 혁신에 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투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군사연구
2020 .01
[한국 근대 Ⅱ] ‘식민지 사회’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 2020~2021년 일제 식민지시기(1910~1945)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학보
2022 .09
『우츠노미야 타로 일기』를 통해 본 봉오동전투
백산학보
2022 .08
6·25전쟁 시기 제2군단의 전투효율성으로 본 금성전투의 의의
군사연구
2020 .01
청산리전투에 관한 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0 .01
임진왜란시기 합천지역의 의병 활동과 전투
동양고전연구
2018 .01
기계화부대 미래 전투수행개념에 대한 연구
군사연구
2019 .01
설림 : 산리전투의 잊힌 영웅, 박영희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0 .01
일본군 기록으로 본 울산성 전투와 전투 직후 일본군의 동향
한일관계사연구
2024 .08
1차 세계대전 이후 중국 동북지역 한인 무장 단체의 무기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0 .01
[작품론] 전투적으로, 전위적으로 소환된 오감과 이미지들
시조시학
2018 .06
세계사적 의미에서의 칭다오전투와 제1차 세계대전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8 .10
『西征日錄』의 사학사적 고찰
韓國史學史學報
2021 .01
청산리 戰役의 전개 배경과 독립군의 작전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6 .01
임진전쟁 시기 주요 전투의 의미와 성격: 대첩을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23 .04
해방기(1945~48) 북한 문예지에 게재된 대표 단편소설 연구 -인물 형상화의 경직성과 유연성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0 .12
6.25전쟁 용문산 전투에 대한 전투사적 고찰
군사연구
2019 .01
3.1운동 후 독립군의 국내진공작전 - 온성전투의 전개와 일본군의 대응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