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摘要
1. 前言
2.《蒙古字韻》中出現的e、ė與非聲母h
3. 結論
參考文獻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당대(唐代) 묘지명에 나타난 중국 기원(起源) 고구려 유민(遺民) 일족(一族)의 현황과 그 가계(家系) 기술 : 고구려 유민(遺民)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제언
역사와현실
2016 .09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 아버지 캐릭터 분석 : 삼원론(三元論)적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17 .03
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 - ‘백두산 신시’를 이은 ‘태백산 신시’의 중창 -
仙道文化
2018 .08
조선 후기 하천지리지(河川地理志)의 등장과 편찬에 관한 연구 - 중국 역도원(酈道元)의 『수경주(水經注)』와의 비교를 겸하여
영토해양연구
2024 .06
대종교(大倧敎)의 삼원(三元)적인 민족주체적 생명철학에 관한 현상학적 해석
종교연구
2017 .04
『四聲通解』에 인용된 『蒙古韻略』과 『蒙古字韻』의 비교연구 ? 齊薺霽韻을 중심으로
중국언어연구
2020 .01
『蒙古字韻』과 『合倂字學集韻』의 韻母체계 대조 고찰 ? 中古 陰聲韻을 중심으로 ?
중국언어연구
2022 .02
關北儒學者 鐺洲 朴琮의 生涯와 道學淵源 考察 -『鐺洲集』을 中心으로-
우리어문연구
2016 .01
대종교(大倧敎)의 불도유(佛道儒) 삼교회통관(三敎會通觀) 분석
종교연구
2018 .04
語境視角下構式的意義研究 - 以“A都A了”與“A也A了”為例
한중언어문화연구
2020 .01
毅堂學派의 문학에 나타난 用夏變夷 수용과 계승
율곡학연구
2021 .09
중국어 韻母 a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2 .04
吉利支丹心得書の字音語の仮名遣い
일본어문학
2015 .01
唐宋音에 걸친 效攝韻의 字音形에 대하여
일본학보
2020 .01
『華東正音通釋韻考』와 『三韻聲彙』의 東音 體系 比較 硏究
중국학
2021 .12
臆測與真實——以王維 「連山到海隅」 詩句詮釋為例
한중언어문화연구
2018 .01
四聲通解 皆解泰韻에 인용된 蒙古韻略 과 蒙古字韻 의 비교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2 .10
四聲通解 灰賄隊韻에 인용된 蒙古韻略 과 蒙古字韻 의 비교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2 .12
直接のやりもらい構文の構造 - 蓮語論の観点から -
일본문화연구
2020 .10
現代漢語與韓語委婉語的類型比較 : 以「家庭」類為例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