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蕭素英 (中央研究院)
저널정보
국어사연구회 한국어사 연구 한국어사 연구 제5권
발행연도
2019.3
수록면
323 - 350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八思巴文是拼音文字, 在元朝具有國書的地位。傳世的八思巴文以譯寫蒙古語、漢語的數量最多, 類型主要有書籍、印章、碑刻以及牌符、錢幣等器物上的文字。八思巴文較爲忠實地反映實際的語音, 透過八思巴漢語文獻, 可一窺元代漢語的音韻。本文在前人研究的基礎上, 使用作者建置的八思巴漢語資料庫, 找出e、ė與非聲母h的最小差異對, 檢視八思巴漢語文獻中含有字母e、ė與非聲母h的字, 搭配 《廣韻》 觀察其聲韻組合的分佈特性, 分析其功能。e, ė與非聲母h在八思巴漢語實際應用文獻中的聲韻組合與《蒙古字韻》一致。ė可以是主要元音, 也可以是複合元音的韻尾。e的發音位置比ė低, 兩者在八思巴漢語中是不同的音位, 但合流的趨勢已經相當明顯。我們認爲, 採用Shen(2008:207-208) 的主張, 將e分析爲元音前化([+front])的音韻徵性(phonological feature), 以一致的方式分析八思巴蒙語以及漢語文獻中的e, 比較有詮釋力。非聲母h只與元音i, a 共現, 我們的材料也支持Shen(2008: 213-236)非聲母h也是音韻徵性的主張, 其功能是將主要元音後移, 也就是將前元音 i 改變爲央元音ɨ, 元音 a 改變爲後元音ɑ。

목차

摘要
1. 前言
2.《蒙古字韻》中出現的e、ė與非聲母h
3. 結論
參考文獻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071-00080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