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희성 (강원대학교) 조영길 (법무법인 아이앤에스)
저널정보
한국비교노동법학회 노동법논총 勞動法論叢 第45輯
발행연도
2019.4
수록면
253 - 280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Supreme Court Decision 2015Da217287 delivered on Feb. 14, 2019) on the ‘Siyoung Transportation Company case’stipulated the principle of limiting the application of good faith that was not explained on the Supreme Court’s unanimous judgment on December 18, 2013 and occurred on the case that the application of good faith is completely excluded.
The judgment intends to explain that it prioritized the enforcement of the Labor Standards Act over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causing serious management difficulties or threatening the existence of a company” and excluded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brief, these results seriously infringe the legal stability and protection of trust underlying the law and order and inevitably destroy the entire law and order.
The main reason for this confusion is that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on the Siyoung Transportation Company case has misinterpreted ‘the criteria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case of violating the mandatory provisions’ that the Supreme Court’s unanimous judgment (Majority opinions)suggested on the case of additional statutory allowance or applied the contrary legal principle. Furthermore, it has the problem that the specific case has serious and unjust consequences that are not appropriate for reality.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on the‘Siyoung Transportation Company case that does not follow the Supreme Court’s unanimous
judgment as well as has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with a financial statement provokes the further confusion in a number of ordinary wage lawsuits currently pending in courts.
One shall expect that the Supreme Court shall understand correctly and legitimately the three general requirements and four special circumstanc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case of violating the mandatory provisions and enhance the legal stability through establishing the explicit, definitive, and unified legal judgment standards and terminating the mass confusion that is taking place in the ordinary wage lawsuit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신의칙 적용 제한법리를 제시한 대법원 판결
Ⅲ. 신의칙 적용 제한법리를 제시한 대법원 판결에 대한 검토와 평가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5)

  • 인천지방법원 2014. 8. 22. 선고 2013가합30789 판결

    자세히 보기
  • 서울고등법원 2019. 2. 22. 선고 2017나28858, 2017나28865(병합), 2017나28872(병합), 2017나28889(병합)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9. 2. 14. 선고 2015다217287 판결

    [1] 신의성실의 원칙(이하 `신의칙’이라고 한다)은, 법률관계의 당사자는 상대방의 이익을 배려하여 형평에 어긋나거나 신뢰를 저버리는 내용 또는 방법으로 권리를 행사하거나 의무를 이행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추상적 규범을 말한다. 여기서 신의칙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권리행사를 부정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에게 신의를 공여하였거나 객관적으로 보아 상대방이 신의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3. 12. 18. 선고 2012다89399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가) 어떠한 임금이 통상임금에 속하는지 여부는 그 임금이 소정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금품으로서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것인지를 기준으로 객관적인 성질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고, 임금의 명칭이나 지급주기의 장단 등 형식적 기준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다. 여기서 소정근로의 대가라 함은 근로자가 소정근로시간에 통상적으로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4. 5. 29. 선고 2012다116871 판결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36-000747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