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이간의 家系와 年譜
Ⅲ. 선조조 抗賊 활동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대 동아시아 해적의 개념과 후삼국시대 해상세력에 대한 시론 -능창의 사례를 중심으로-
백산학보
2023 .04
16세기 말 조일외교를 바라보는 두 시각 -松浦霞沼의 『朝鮮通交大紀』와 金誠一의 『海槎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2018 .01
[토론문] “後漢末 黃巾賊 봉기와 流民”에 대한 토론문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1
영조대 戊申亂관련 邊山賊의 성격
한국사학보
2016 .05
後漢末 黃巾賊 봉기와 流民 - 財政과 자연재해 · 내란 · 유민의 상호영향 -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1
新羅 憲德 · 興德王代의 災異와 정치 · 사회적 영향
역사와경계
2016 .09
조선 英祖代 戊申亂의 실패 원인
한국사연구
2015 .09
명대 가정년간 해상세력의 형성과 분화 - 『일본일감』을 중심으로 -
역사와경계
2019 .12
1636년 일본사행록, 『海槎日記』의 작자와 내용 소개
한일관계사연구
2017 .08
[PAPER’s Culture Eyes] 당신의 봄을 더욱 싱그럽고 해사하게 밝혀줄 장르별 문화 정보
PAPER
2019 .03
해사문화교섭과 승선사관 해사커뮤니케이션 역량 교육 방향 연구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6 .04
햐쿠타 나오키(百田尙樹)의 작품『영원한 제로(永遠の0)』와 『해적이라 불린 사나이(海賊とよばれた男)』속 역사 · 윤리적 관점 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8 .04
고려 靖宗代 入仕와 직역 승계 규정
한국사연구
2020 .03
임진왜란 기 ‘이몽학의 난’에 대하여
韓國史學史學報
2022 .12
중국어 ‘胡(호)’의 의미와 구조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1 .12
임진왜란 후 청난공신(淸難功臣) 선정에 관한 연구
韓國史學史學報
2022 .12
鶴峯 海槎錄 소재 漢詩의 문예적 특질과 주제 의식
열상고전연구
2019 .01
鶴峯 金誠一의 『海槎錄』 소재 한시에 보이는 일본 경험
열상고전연구
2019 .01
『삼국유사』 영재우적(永才遇賊) 조와 <우적가(遇賊歌)>의 의미 고찰
한국시가문화연구
2019 .01
淸州 拱北樓 應製詩의 創作背景과 詩意識
南冥學硏究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