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호훈 (서울대)
저널정보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韓國史硏究 제184집
발행연도
2019.3
수록면
75 - 112 (38page)
DOI
10.31791/JKH.2019.03.184.75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fter liberation, so far, Silhak(實學) has been one of the hottest research topics in the area of Korean history. The issues raised in previous research can be compressed as follows. First, does practical thought contain modernity? Second, what are the conditions that led to the formation of Silhak, and where did the force that promoted its development come from internal factors or new cultures that came out?
What will be the academic vitality of Silhak in the future? If we look back on the existing researchers, this will depend on the following conditions: Can Korean historians explain the historical challenges that must be resolved in this land in relation to the study of the Silhak? Also, can they find clues to solve the historical problems of Korea with the framework of the Silhak? If this task can be accomplished successfully, the Silhak will not remain in the products of 20th century history and still play its role in the 21st century.

목차

Ⅰ. 머리말
Ⅱ. 해방 후 실학 연구와 ‘근대’의 모색
Ⅲ. 실학 연구의 확장과 분화 : ‘근대’와 ‘비근대’의 충돌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911-000553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