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노기호 (군산대학교)
저널정보
한양법학회 한양법학 한양법학 제30권 제1집(통권 제65집)
발행연도
2019.2
수록면
21 - 45 (25page)
DOI
10.35227/HYLR.2019.02.30.1.2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ince the person who is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in the unitary school is the teacher of the school,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right of studying of the student are decided according to what kind of educational right and the school teacher can participate in the school education.
The autonomy and freedom of teachers should be fully ensured and the involvement of the state should be excluded or limited as much as possible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the methods of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freedom of education of teachers. However, since the right to education of teachers is considered to be derived from the nature of education, most of them are based on the right of the right. Therefore, it is easy to limit by the law, and the status of the teacher is also given as a member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it is bound to be bound to the educational authority of the state because of the obligation to perform the role.
In addition,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possibility of the reflection of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in the curriculum is very narrow and the right to organize the school curriculum is entirely the authority of the state under the current law. Also, teachers` discretion is not allowed in the preparation and selection of textbooks. This can be seen from the judgm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s measures on the use of supplementary textbooks by several cities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the case of Korea,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decision on education system is entirely in the country. Especially under the public education system like now, the right of the state to decide the contents of education works in all education parts. Textbooks, compulsory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and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gencies.
In the area of local autonomy through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local education is regulated and involved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state. However, the educational authority of the state is also related to the educational ideology and purpose of realizing the right to education of the people, and to the education rights of the parents who have the right of deciding priorit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nd it is assumed that it has a certain limit.
School teachers have the authority,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to educate students. This is because teachers` right to education is made by a constitutional request, and education is the function of internal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Therefore, not suitable for coercion and interference.

목차

Ⅰ. 서론
Ⅱ. 교원의 교육권 개요
Ⅲ. 교원의 교육권으로서의 교육과정편성권의 쟁점
Ⅳ. 교원의 교육과정편성권의 보장과 한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3)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4)

  • 헌법재판소 1997. 12. 24. 선고 95헌바29,97헌바6(병합) 全員裁判部

    가. 교육의 자주성과 교원의 지위는 국민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침해할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이 사건 요건조항은 교원으로서의 의무 내지 책임에 대응하여 최소한의 자질과 근무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것으로서 그 개념이 불명확하여 헌법 제31조 제4항의 교육의 자주성 등을 침해한다고 할 수 없고, 임면권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7. 3. 29. 선고 2005헌마1144 전원재판부

    가. 학교운영위원회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운영에서 민주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단위 학교차원의 자치기구로서 그 선거과정은 공직선거법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체규정에 의하여 규율되고 국·공립학교의 경우에는 심의기구, 사립학교의 경우에는 자문기구로서의 기능을 할 뿐이므로 학교운영위원회가 기능상 부분적으로는 공공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2. 11. 12. 선고 89헌마88 全員裁判部

    가. 교육법(敎育法) 제157조, 교과용도서(敎科用圖書)에관한규정(規程) 제4조, 제5조에 의하면 중학교(中學校) 교과서(敎科書)의 편찬은 교육부가 직접(直接) 또는 위임(委任)하여 편찬하게 되어 있어 일반(一般) 사인(私人)은 물론 국어교사(國語敎師)라 할지라도 이를 저작(著作)·발행(發行)·공급(供給)할 수 있는 길이 봉쇄되어 있으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3. 9. 25. 선고 2001헌마814,815,816,817,818,819(병합) 전원재판부

    청구인들이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는 학생선발권은 대학총장에게 부여된 권한이지 청구인들과 같은 재학생에게 인정되는 기본권으로는 볼 수 없고, 직업선택의 자유는 특정인을 타인과의 경쟁으로부터 특별히 보호하기 위한 기본권일 수는 없으므로 설사 이 사건 공고들로 인해 장차 청구인들이 교사임용시험에서 상대적으로 치열한 경쟁을 예상해야 한다고 하더라도,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60-000558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