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제례와 스모
2. 메이지신궁의 창건과 봉납스모
3. 메이지신궁과 전일본역사선사권대회(全日本力士選士権大会)
4. 봉납스모의 사회문화적 맥락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戦時下日本における大相撲の変容と創られた相撲ブーム
일본문화연구
2015 .01
냉전기 일본의 ‘메이지 vs 전후’ - 1960년대 경제내셔널리즘의 대두 -
日本思想
2019 .01
한반도 지하의 후견헌법― 소설 「총독의 소리」의 경륜론과 메이지 헌법
대동문화연구
2023 .06
일제의 혼합민족설과 관폐대사 제신에 관한 연구 -부여신궁(扶餘神宮)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1 .08
메이지 천황의 ‘신성’함의 기원들 ― 메이지헌법 신성불가침 조항의 의미에 대하여 ―
일본학보
2021 .11
일본 에히메의 「히메 다루마」와 신공황후전승
일본문화학보
2016 .11
일본 스모(相撲)의 교지(行司)조직 운영 시스템
일본연구
2017 .11
사진그림엽서로 본 식민지조선에서의 국가신도 체제 선전과 실상 : 조선신궁 사례를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17 .07
메이지정부의 식육정책과 아지노모토 ―우마미의 발견―
日本學硏究
2017 .01
야스쿠니신사의 공간적 변용 : 여흥의 공간에서 현창의 공간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17 .08
신공황후전승에 있어서의 물과 돌
日本學硏究
2017 .01
근대 일본어 신문 『釜山日報』의 스포츠 용어 연구 - 일 · 한 전통스포츠 스모와 씨름을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
2025 .02
막말・메이지기 왕정복고와 신사의 창건―남공사(楠公社)를 통한 충신현창을 중심으로―
日本學硏究
2024 .01
일제강점기 초등교과서에 표상된 明治天皇 : 조선총독부 편찬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7 .05
메이지 일본의 대조선 외교와 군사 기술, 1876-1882
한국과학사학회지
2015 .01
메이지 시대의 소설에 보이는 상류 여성의 문말 표현의 사용 양상 -소세키(漱石)의 『それから』와 『彼岸過迄』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23 .02
중세 진구황후(神功皇后) 신화와 노(能) ≪하코자키(箱崎)≫에 나타난 진구황후 상
아시아문화연구
2017 .04
전후 한국에서의 국가신도(國家神道) 시설의 변용 : 국내에 건립된 신사와 신사터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6 .02
메이지 후기 상류층 여성의 언어 활동에 관한 연구 -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それから』를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
2025 .02
8세기 중엽 ‘新羅征伐’ 계획의 소멸과 ‘神功開寶’의 주조
한일관계사연구
2023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