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머리말
2. 선행연구 및 연구의 목적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및 고찰
5. 맺음말
参考文献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메이지 후기 상류층 여성의 언어 활동에 관한 연구 -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それから』를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
2025 .02
‘高等遊民’ 계층의 어휘적 특징으로 보는 언어 활동 연구 -소세키(漱石)의 『彼岸過迄』(1912)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22 .08
채식주의자 에 나타난 여성어의 영어번역과 러시아어번역 비교연구
통번역교육연구
2023 .06
한반도 지하의 후견헌법― 소설 「총독의 소리」의 경륜론과 메이지 헌법
대동문화연구
2023 .06
文構造面からみた高等遊民の言語活動の研究
일어일문학
2023 .11
소세키의 어학적 어프로치와 번역-일한번역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2017 .01
나쓰메 소세키 문학의 한국어 번역과수용 양상
일어일문학연구
2017 .01
메이지의 바깥에서 보는 메이지유신 : <메이지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박훈, 민음사, 2014)
역사비평
2016 .02
냉전기 일본의 ‘메이지 vs 전후’ - 1960년대 경제내셔널리즘의 대두 -
日本思想
2019 .01
메이지 천황의 ‘신성’함의 기원들 ― 메이지헌법 신성불가침 조항의 의미에 대하여 ―
일본학보
2021 .11
다이쇼(大正) 시대 ‘高等遊民’의 언어 활동 연구-소세키(漱石)『고코로(こころ)』의 어휘(語彙) 표현의 관점에서-
일어일문학
2022 .08
소세키의 『열흘 밤 꿈(夢十夜)』 고찰 —꿈의 방법에 의탁한 소세키 실존의 원풍경—
일본연구
2020 .02
「高等遊民」の言語活動の研究 ―修辞表現の観点から漱石の三作品を中心に―
日本語敎育
2023 .03
나쓰메 소세키의 생사이면에 대한 재인식 : 대환(大患) 이후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8 .08
소설을 기다리다
월간에세이
2018 .03
소설론은 움직인다
자음과모음
2023 .06
적이 없는 소설들
자음과모음
2022 .12
[소설] 아물지 않아, 아려, 아직도
문학들
2022 .08
[소설] 못 한 일
황해문화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