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머리말
Ⅰ. 청도 지역 고성이씨의 재지 기반
Ⅱ. 청도 지역의 의병 활동
Ⅲ. 청도 지역 이외의 항쟁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전쟁기 북한 신문에 보도된 임진왜란 360주년 기념 기사의 주요 내용과 특징 - 1952년 민주청년, 로동신문, 민주조선을 중심으로 -
역사학연구
2023 .02
조선시대 胡亂 被擄人과 두 딜레마
율곡학연구
2022 .12
임진왜란기 忠順堂 李伶의 의병 활동과 기억화
역사와경계
2019 .03
조선후기 통신사행록 속에 나타난 전쟁의 상흔, 그리고 부산
한국문학논총
2020 .01
중봉(重峯) 조헌(趙憲)의 「비왜지책」 분석
동양철학연구
2023 .05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 나타난 의병서술의 관점과 의미 -민용호의 의병운동을 중심으로-
南冥學硏究
2021 .12
<쇼듕화역ㄷㆎ셜>의 전쟁 서술 방식과 문학적 의미-임진왜란을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2020 .01
임란초기 영천지역 의병 항쟁과 영천성 복성復城
국학연구
2015 .04
스사노오 신화와 神代記의 논리
일어일문학
2018 .11
임진왜란기 문경聞慶의 의병義兵 활동과 지역의 동향動向
국학연구
2021 .03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임진왜란기 지방 이서의 전쟁 경험과 정리 작업 - 이탁영의 『정만록』을 중심으로 -
韓國史學史學報
2016 .12
임진왜란의 역사적 기억과 명ㆍ청 교체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5 .10
1896~1910년간 충청지역 의병판결과 의병의 대응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1 .01
The Genealogy in the Koguryŏ Diaspora’s Epitaph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2 .08
1906~1910년간 일제의 의병 판결실태와 그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8 .02
한말 경북지역 의병일기의 사료적 특징과 활용을 통해 본 선비정신 : 「스토리테마파크」 이야기 소재 자료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15 .12
대한제국기 의병운동 참여주체의 지향 재인식
한국사학보
2020 .02
임진왜란 개설서의 사학사적 검토 — 『한국사』12(1977)와 『한국사』 29(1995)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
2021 .09
柳宗悦の朝鮮理解の特質 ―朝鮮関連初期の著作を手がかりに―
일본문화학보
2020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