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강식 (한국해양대학교)
저널정보
효원사학회 역사와 세계 역사와 세계 제54집
발행연도
2018.12
수록면
287 - 324 (38page)
DOI
10.17857/hw.2018.12.54.28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임진왜란 시기에 청도 지역에 거주했던 固城李氏 가문의 5의사는 다양한 형태로 전쟁을 극복하는데 기여하였다. 청도 지역의 고성이씨는 조선중기의 士禍期 이후에 안동에서 청도로 李育이 이주해 온 후 사족으로서 在地的 기반을 다져나간 가문이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초기에 일본군의 침략을 받은 청도에서 고성이씨 가문의 인사들은 초기부터 청도 지역의 전쟁 극복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는데, 이것이 난 후에 청도 지역에서 향촌지배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임진왜란 시기에 청도 지역의 고성이씨 가문은 전쟁의 극복을 위해서 청도지역과 다른 지역에서 전쟁 극복을 위해서 노력하였다. 먼저 청도 지역에서 密城朴氏 가문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의병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임진왜란 시기에 비교적 빠른 시기에 의병 활동이 전개되었던 청도의병에 李磬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李濂과 李澈 등이 활동하였다. 이들은 청도의병을 주도한 밀성박씨 가문 등과 합세하여 활동하였는데, 특히 李磬은 돌격장으로 활약하였다.
다음으로 가계가 분명하지 않은 李潛은 전라도 체찰사 鄭澈에 의해 邊士貞휘하의 부대에 보내져서 副將으로 활약하다 계사년 진주성전투에 참가하여 순절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는 경상우도 고령의 吳澐 집안과 혼인으로 연결되며, 대구의 의병장이었던 蔡夢硯이 그의 비문을 작성하고 있다. 李海는 청도에서 창의하여 활약하다 정유재란 때 權慄의 諭書를 받고 남원성전투에 참가하여 순절하였던 인물인데, 絶命嗣와 義馬塚이 전해 온다. 정유재란 때의 활동과 관련하여서는 청도의 고성이씨 가문의 인사들이 郭再祐의 『火旺山城同苦錄』 등에 이름이 올라 있다.
이처럼 청도 고성이씨 가문의 5의사는 임진왜란 시기에 계속적으로 일본군과 대치하였던 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전쟁 극복을 위한 다양한 항쟁에 참가하여 활동하였다. 이 때문에 전쟁 후에 청도 지역의 항촌사회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대표적인 가문으로 성장할 수 있었는데, 그들은 대부분 임진왜란 이후 작성된 鄕案에 이름이 등재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머리말
Ⅰ. 청도 지역 고성이씨의 재지 기반
Ⅱ. 청도 지역의 의병 활동
Ⅲ. 청도 지역 이외의 항쟁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6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911-000312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