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머리말
Ⅰ. 서경천도론의 의미
Ⅱ. 인종대 국가정책과 서경천도론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사와 가까워진 오키나와, 그 출발은 기와 명문과 고려 삼별초 - 윤용혁 저, 『한국과 오키나와-초기 교류사 연구』(서경문화사, 2020) -
대구사학
2020 .01
주몽고려, 궁예고려, 왕건고려, 코리아의 단절과 계승
역사와현실
2018 .09
노서경, 『알제리전쟁, 1954-1962: 생각하는 사람들의 식민지 항쟁』 (문학동네, 2017)
서양사론
2018 .06
고조선사 연구를 본 궤도에 올려놓다 :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서경문화사, 2014)
역사와현실
2015 .12
고구려 정치체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 『고구려 중 · 후기 지배체제 연구』(이동훈 著, 서경, 2019)
고구려발해연구
2019 .07
《戰國策》中引用的經傳分析
중국어문논역총간
2015 .07
고려 西京 위치에 대한 고찰
인문과학연구
2022 .03
『書經』 刑 개념에 관한 正祖의 이해와 적용
양명학
2022 .06
국가제사로 고구려 역사를 논하다 - 강진원, 『고구려 국가제사 연구』 (서경문화사, 2021) -
고구려발해연구
2022 .07
고려 인종대 ‘年號’ 제정을 둘러싼 갈등
한국사학보
2017 .08
고려후기 『상서』의 정치적 활용과 그 성격
사림
2020 .01
기독교 관점에서 본 서경(書經)의 종교성 고찰
신학과 사회
2017 .01
고구려사 인식에 관한 지평의 확대 : 박경철, 『한국고대사의 재인식』 (서경문화사, 2018)
고구려발해연구
2018 .11
북한이 생각하는 인종: 유형적 실체로서 인종
백산학보
2022 .08
13~14세기 고려 지식인의 시대 인식과 정체성
역사와현실
2020 .03
노서경, 최재인 외, 『19세기 허스토리: 생존자의 노래, 개척자의 지도』 (마농지, 2022), 372pp.
서양사론
2022 .06
고려 지배층의 신라 출자의식과 그 사회적 성격
역사와현실
2019 .06
형벌과 법제에 대한 주자학의 인식 연구 - 주희(朱熹)와 채침(蔡沉)의 서경(書經) 해석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9 .01
고조선 중심지의 변천과 국가적 성격에 대한 새로운 논의 :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 서경문화사, 2014
한국고대사연구
2015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