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Ⅰ. 서론
Ⅱ. 『서경』 형(刑)에 대한 이해
Ⅲ. 정조(正祖)의 형 개념 이해
Ⅳ. 정조의 형 개념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려 초창기 형정 체계의 개편과 그 의의
사학연구
2023 .09
고려 전기 형정의 성격 - 운영의 체계화와 관련 의례의 정비 -
동방학지
2022 .06
中國 刑罰體系의 變遷 -특히 ‘自由刑’의 발달(仁井田陞)
신라사학보
2016 .04
遷刑에서 流刑으로 - 중국 고대 유배형의 변천과 특징 -
중국사연구
2023 .04
漢文帝 刑制改革과 刑罰制度의 變化 - 『荊州胡家草場西漢簡牘』자료를 중심으로 -
동서인문
2022 .04
형벌과 법제에 대한 주자학의 인식 연구 - 주희(朱熹)와 채침(蔡沉)의 서경(書經) 해석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9 .01
秦에서 漢으로의 罰金刑과 贖刑의 變化와 그 性格
동양사학연구
2016 .03
蔡沈의 刑罰考證 立論
민족문화
2016 .06
<심리록(審理錄)>을 통해 본 조선후기 여성범죄 양상과 판결의 특징
온지논총
2024 .01
What is the Final Goal of Punishment and Forgiveness?
윤리연구
2015 .05
고려후기 『상서』의 정치적 활용과 그 성격
사림
2020 .01
『시경』·『서경』의 인격적 천관(天觀) 연구
신학전망
2017 .03
케사레 베까리아(Cesare Beccaria)의 사형폐지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신학지남
2015 .03
고려말 무위(無爲)의 이상정치 지향과 유교적 형정론
한국사연구
2023 .09
『尙書』 刑政의 이념과 현실 적용
한국한문학연구
2016 .06
중국 민간고문서의 의미와 그 내용 분석 -明代 이후의 민간고문서를 중심으로-
전북사학
2023 .03
노서경, 『알제리전쟁, 1954-1962: 생각하는 사람들의 식민지 항쟁』 (문학동네, 2017)
서양사론
2018 .06
『상서(尙書)』의 신주소(新注疏)로서, 한국본 『서전대전(書傳大全)』 간인본(刊印本)들 간의 서지학적 이동(異同) 연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03
죄와 벌의 시각화 : 일제강점기 김윤보(1865~1938)의 《형정도첩》을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