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플랫폼 노동과 법률관계
Ⅲ. 플랫폼 워커의 법적 지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8. 4. 26. 선고 2016두49372 판결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서 말하는 근로자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를 의미한다(제5조 제2호 본문).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는 계약의 형식이 고용계약, 도급계약 또는 위임계약인지 여부보다 근로제공 관계의 실질이 근로제공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여기에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9. 7. 11. 선고 88다카21296 판결
전문의시험 응시자격취득을 위한 수련과정의 이수를 위해 병원의 전공의로 임용되어 인턴의 경우에는 통상 24시간 병원에 대기하고 레지던트의 경우에는 통상 매일 07:00 출근하고 19:00 퇴근하되 평균 주 2회 야간당직근무를 하면서 병원에서 수립한 진료계획에 따라 주간근무중에는 전문의의 지시, 감독을 받고 야간당직 근무중에는 독자적 판단에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16. 8. 12. 선고 2015누61216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11. 13. 선고 2014다4274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12. 7. 선고 2004다29736 판결
[1]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계약의 형식이 고용계약인지 도급계약인지보다 그 실질에 있어 근로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고, 여기에서 종속적인 관계가 있는지 여부는 업무 내용을 사용자가 정하고 취업규칙 또는 복무(인사)규정 등의 적용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5. 15. 선고 2008두1566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4. 12. 9. 선고 94다22859 판결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그 계약의형식이 민법상의 고용계약인지 또는 도급계약인지에 관계없이 그 실질에 있어 근로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할 것이고, 위에서 말하는 종속적인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업무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9. 6. 선고 2007다3716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8. 4. 26. 선고 2017두74719 판결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플랫폼 노동자의 근로권에 관한 헌법적 검토
헌법학연구
2024 .09
사용종속관계의 새로운 기준 및 평가
노동법논총
2020 .04
경기도 공정 배달료 추진방안 연구
정책연구
2021 .07
플랫폼 아날로그 노동과 음식배달원의 근로자성
노동법학
2020 .06
디지털 전환시대 플랫폼 노동자의 법적 보호방안
법학연구
2021 .06
지금 왜 다시 사용자인가?: 플랫폼 노동관계에서 사용자 찾기
노동법포럼
2020 .11
플랫폼 노동, 제3의 지위가 해법인가? - 미국의 입법 동향을 중심으로 -
노동법포럼
2021 .02
배달앱을 활용한 전통시장 배송 모형에 관한 실증분석
산경연구논집
2019 .01
보험설계사의 노동법상 쟁점과 과제
노동법논총
2019 .12
플랫폼노동 조직화 모델 제안: 플랫폼노동과 그림자노동 관점의 통합
경영학연구
2023 .02
배달앱 기사는 왜 배달 노동에 머무는가? - Bourdieu의 자본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2021 .02
감정노동에 대한 노동법적 규율방안
노동법논총
2015 .12
플랫폼 노동자의 근로자성
노동법포럼
2021 .02
고용환경의 변화, 노동법의 위기와 대응 : 노동보호법의 인적 적용범위를 중심으로
노동법학
2018 .09
플랫폼노동의 쟁점과 향후 입법 · 정책적 과제
노동법포럼
2020 .02
사용종속관계의 개념 및 기준
노동법논총
2018 .04
시대변혁기에 있어서 노동법의 역할
노동법포럼
2017 .02
키워드 분석을 통한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전, 후의 소비자, 음식점 점주의 배달앱에 대한 인식변화 연구: ‘배달의민족’을 중심으로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2023 .05
플랫폼 노동의 공정거래법상 규율방안 연구 - 배달기사 사례를 중심으로 -
상사판례연구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