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주체의식의 고양과 좌절
Ⅲ. 주변인으로서의 타자와 경계인으로서의 주체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해방기 시에 나타난 만주상상력 연구
한국문학논총
2017 .01
해방이후 시에 재현된 만주의 기억
우리문학연구
2019 .01
《满洲映画》对上海电影的接受
중국어문논역총간
2025 .01
여성화된 만주와 조선 남성 엘리트의 개척자 이미지 –일제 말, 조선인 작가의 만주국 배경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계몽주의’ –
한국현대문학연구
2020 .04
망국과 실향의 한(恨), 만주 디아스포라를 돌아보다: 1930년대 ‘만주개척단’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2016 .01
만주국 문학 연구에 관한 일고찰
중어중문학
2022 .09
1930년대 재만조선인, 이등국민론의 비판적 성찰 : 교육정치사의 관점과 사례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5 .06
조선과 만주국 國境邊緣地帶에서의 교류․삶․통제․협력 - 신문 내용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0 .01
在滿 조선인 중·단편소설에 나타난 ‘만주’의 표상 연구 : ≪싹트는 大地≫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7 .06
망각되는 만주국 조선인과 만주국 조선인 연극 기억하기
어문론총
2019 .01
창과 방패의 딜레마: 1929년 제3회 IPR회의의 만주 논쟁
중국사연구
2015 .01
‘낮은 하늘 아래 좁은 길을 걷다’ - 만주국 여성작가와 문학 연구
한중언어문화연구
2021 .08
만주국의 패망 전후 일제 식민당국의 동태와 사회 분위기
중국사연구
2023 .06
만주국 시기 北滿洲의 농업경영과 농민층의 변화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7 .01
遲子建 소설 ≪僞滿洲國≫ 속 ‘滿洲敍事’의 意義
중국어문논총
2015 .06
식민주의를 돌파하는 이주의 경험 -백석과 윤동주의 경우-
우리문학연구
2024 .10
일제강점기 만주행 作家들의 내면과 心象地理 : 백석과 이효석의 러시아에 대한 동경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6 .09
1920년대 조선 지식인의 만주 기행문에 나타난‘중국(인) 인식’
한중인문학연구
2017 .01
일제강점기 초등교과서에 表象된 空間 ‘滿洲’ : 조선총독부 편찬 <지리교과서>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2016 .05
만주, 담론의 불안, 혹은 헤테로토피아 : 1940년대 만주 소재 희곡 유치진의 「흑룡강」 을 중심으로
인문연구
2015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