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욕망과 불안의 시대
Ⅱ. 함께 만드는 대안 경제
Ⅲ. 자연과 함께 하는 사람들
Ⅳ. 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Ⅴ. 새로운 정치를 꿈꾸는 사람들
Ⅵ. 국가와 민족을 넘어 세계시민으로
Ⅶ. 생태민주주의를 향하여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자유민주주의의 한계와 대안으로서 생태민주주의: 생태민주주의의 관점과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2022 .03
[제1장] 왜 민주주의 3.0인가? `선비민주주의`를 향하여
선진화 정책시리즈
2017 .07
[디지털 민주주의 현재와 미래-②] 디지털 민주주의는 어디까지 왔는가
KISO 저널
2020 .07
자유민주주의는 없다
현장과광장
2024 .11
“민주주의”라는 언어, 제대로 사용되나?
선진화 정책시리즈
2021 .02
한국 대학은 민주주의의 적이다
대학: 담론과 쟁점
2016 .12
녹색정치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 구도완 지음. 2018. 『생태민주주의』 한티재
환경사회학연구 ECO
2018 .06
누가 왜 대안을 원하는가? : 한국인의 직접, 대표제, 전문가 민주주의 지지
한국정당학회보
2018 .12
한국 민주주의, 100년의 혁명: 1919~2019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민주주의 입법과정론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민주주의의 도덕적 정당화
21세기정치학회보
2018 .09
현재, 여기서 민주주의를 실천하자!
경제와사회
2019 .03
한국 민주주의의 품질 : 민주화가 정체된 결함 있는 민주주의
현대정치연구
2016 .10
“대의민주주의를 넘어, 하이브리드 민주주의는 가능한가?”에 대한 토론문
공법연구
2020 .12
“대의민주주의를 넘어, 하이브리드 민주주의는 가능한가?”에 대한 토론문
공법연구
2020 .12
생태시민성과 『주역』의 생태주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08
민주주의의 변형과 미래전망: 능력주의적 거버넌스와 숙의민주주의
한국행정사학지
2020 .01
생태군집 개념을 활용한 초등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방안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12
세기·세계사적 사건 "대한민국이 세계 민주주의 횃불이 됐다" : 민주주의의 교본이 된 “한국 민주주의”
나침반 36.5도
2025 .05
생태사회적 배제의 담론화와 생태복지국가를 향한 대응
한국환경사회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