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논문초록
Ⅰ. 여는 말
Ⅱ. 예레미야 30-31장 내의 예레미야 31장 23-40절의 저작과 통일성
Ⅲ. 렘 31:23-40에 나타난 새 언약과 통일 이스라엘
Ⅳ. 이스라엘과 유다의 통일 이상과 한반도 통일에 주는 함의
Ⅴ. 닫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재림과 이스라엘 회복 운동
신학과 목회
2018 .05
아모스, 언약에 의한 심판과 회복 —아모스 2:6-15을 중심으로
ACTS 신학저널
2015 .01
예레미야 소명 설화의 의도
신학과 목회
2015 .11
시온신학의 기원에 관한 고찰
구약논단
2024 .12
트라우마의 관점에서 본 예레미야 16장 해석
구약논단
2023 .06
이스라엘의 삼중 관계: 이스라엘과 야훼, 열방, 예언자(암 2:6-3:8)
선교와 신학
2023 .02
이스라엘의 구원을 말하는 로마서 11장 25-26절에 대한 연구
신약논단
2016 .03
예레미야서 빛으로 읽는 애가서 신학
성경과 신학
2017 .01
제사장 그룹에 대한 예레미야의 제한적 비판이 지닌 편집 의도 분석
신학과 목회
2021 .12
Jeremiah, the Deviant Prophet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2020 .12
새 언약 안에서 백성의 변형 : 예레미야 33:14-26의 분석
성경원문연구
2015 .10
예레미야의 "새 언약" (렘 31:31-34): 수사학적 긴장관계의 해결
TORCH TRINITY Journal
2017 .07
How New is the New Covenant?
TORCH TRINITY Journal
2024 .12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 (시편 120-134)의 구성적 주석적 연구
ACTS 신학저널
2021 .12
아모스의 열방 심판 말씀(1:3-2:5) ‐ 이웃 민족의 ‘서너 가지 죄’의 성격과 유다 심판 말씀의 기능 ‐
장신논단
2022 .12
Israel’s Identity, Fall, and Destiny in the Book of Jubilees
성경원문연구
2021 .04
조선의 운명과 남 유다의 멸망에 대한 정치, 경제, 종교적 관점의 비교 연구: 예레미야서를 중심으로
구약논단
2023 .03
옛 언약과 새 언약
개신논집
2015 .09
예레미야 25-44장의 메시지: 3단계 구성을 중심으로
구약논단
2022 .09
이스라엘의 선택과 열방과의 관계 스펙트럼
구약논단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