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머리
2. 이름과 그 관계에 대한 성찰
3. 언어유희를 통한 무의미시
4.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춘수 시론에서 ‘무의미’와 ‘언어’의 관계 : 시의 현대성과 언어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17 .08
말을 두고 말해본다
중국조선어문
2017 .03
일본어의 복수 표지 ‘-たち’의 사용 범위 확대에 대한 고찰 ―트랜스 동아시아적 예비 분석도 겸하여―
일본문화학보
2023 .02
김춘수 ‘무의미시’의 제의(祭儀)적 성격 연구
한국시학연구
2016 .08
불교의 언어, 불교상담의 언어
대동철학
2017 .12
국어교육에서의 언어정체성과 문법 교육의 역할
국어교육연구
2016 .06
언어유희에 대하여
현대문학의 연구
2022 .10
공공언어 정책과 교육의 괴리 극복 방안
동악어문학
2023 .02
언어 패러다임의 변화와 지역어의 가능성에 대한 시론
코기토
2023 .10
‘언어의 소외’와 ‘과학적’ 언어 연구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1920~1930년대 조선어 연구를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
2022 .06
The Effects of Language Difference on L2 Learners’ Language Performance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2
해방 후 국어 의식의 형성과 전개 : 어문민족주의적 국어 의식의 계승과 변화의 맥락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2017 .02
매체 언어 연구의 성과와 과제: ≪사회언어학≫ 수록 논문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020 .01
언어를 아는 것과 언어에 관해서 아는 것 — 외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중국어교육과연구
2022 .03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Immigrant Language Maintenance and Language Ideology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2 .05
광고 언어의 연구는 언어의 힘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어학
2016 .11
우리말 (외 1수)
중국조선어문
2018 .11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 언어 보편성과 모국어 전이-억양의 문법적 기능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19 .01
표준어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화 연구: 기사에 달린 댓글을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23 .02
표준어 선정 원칙에 대한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어학
2015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