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16년 국가배출목록 기반 지자체별 초미세먼지 기여도 분석: (II) 인천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1 .02
2016년 국가배출목록 기반 지자체별 초미세먼지 기여도 분석: (VI) 충청북도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1 .06
2016년 국가배출목록 기반 지자체별 초미세먼지 기여도 분석: (IV) 전라북도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1 .04
지역맞춤형 초미세먼지 원인 진단을 위한 3차원 광화학 대기질 모델링 기반 (CAMx-PSAT) 지역별 배출부문별 기여도 추정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3 .10
2016년 국가배출목록 기반 기초 지자체별 초미세먼지 기여도 분석: (VIII) 부산, 경남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1 .12
효율적인 대기정책 마련을 위한 대기질 모델 활용방안 고찰 :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중지에 따른 충남지역 PM2.5 저감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8 .10
2016년 국가배출목록 기반 지자체별 초미세먼지 기여도 분석: (VII) 서울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1 .06
Contribution of Research on the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to COVID-19 Measures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 .10
COVID-19 기간 중국 배출량 변화에 따른 국내 권역별 PM2.5 농도 및 국외 기여도 변화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10
전국 선박 오염원 배출량으로 인한 국내 미세먼지 기여농도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11
2017년 노후 석탄화력 가동중단에 따른 초미세먼지 개선 효과 분석 및 고찰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10
CMAQ 모델을 이용한 2016년 국가배출목록 기반 배출부문별 광역 지자체 PM2.5 농도 영향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1 .02
지자체별 대기오염물질 오염원별 미세먼지 기여농도 및 전환율 산정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10
배출목록 기반 국내 PM2.5 농도와 노출 감소에 효과적인 주요 배출 지자체 선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1 .06
Human contribution to the 2014 record high sea surface temperatures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04
2016년 국가배출목록 기반 지자체별 초미세먼지 기여도 분석: (V) 울산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1 .06
수도권 초미세먼지 농도모사 : (V) 북한 배출량 영향 추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8 .04
미세먼지 저감 정책 추진방향 및 주요 내용: 제3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 수립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10
서울지역 대기 중 PM2.5 성분분석 및 발생원별 기여도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10
Large contributions of Chinese air pollutants to a record-breaking PMs episode in South Korea for 11-15 January 2019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