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서론
제1장 전통과 오타쿠는 어떻게 길항하는가?
제2장 〈오백나한도〉에서 〈메메메의 해파리〉로 : ‘이야기’는 성공했는가?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日本語抄録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잃어버린 장소에 대한 애도는 가능한가 - 〈스즈메의 문단속〉 재난 서사의 변화 -
일본문화연구
2023 .07
소설 「참사 이후, 참사 이전(惨事のあと、 惨事のまえ)」을 통해 본 3.11 동일본대지진
일본어문학
2018 .01
디스토피아 세계와 삶에 대한 의지 - 무라카미 류(村上龍)의 『5분 후의 세계』를 중심으로 -
일본문화학보
2022 .08
<오백나한도>의 現狀과 작품의 특징에 대한 연구 -일본 지온인[知恩院] 소장 고려 <오백나한도>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0 .09
김억의 『해파리의 노래』에 나타난 ‘표박(漂迫)’의 의미 - 1920년대 세계고(世界苦) 담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20 .12
동일본대지진과 재해문학의 치유와 재생 담론
인문학연구
2016 .01
제주 근대기 전통불화의 제작과 특징
숭실사학
2021 .12
전후 재난문학 서사에 나타난 관리되지 못한 폭력으로서의 인재 - 요시무라 아키라 『관동대지진』을 중심으로 -
일본문화연구
2025 .04
거조암 『오백성중청문』을 통해 본 한국의 오백나한 의례
禪學(선학)
2018 .01
記録とフィクション : 「3.11」以降の震災マンガにおける「災害」の表象
일본문화연구
2018 .10
고려-조선전기 나한신앙과 나한상의 특성에 대한 일고찰*
불교학보
2023 .03
Production and Enshrinement of Arhat Painting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6 .06
韓国の日本語教育におけるChatGPT利用に関する一考察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3 .04
接触場面における中国人日本語学習者のCSに関する一考察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8 .09
조선 18세기 나한도의 신경향 : 상주 남장사 <십육나한도> 연구
불교학보
2015 .09
신라 悟眞의 오백나한 입전 현황 고찰 - 제479번 羅漢 新羅國 悟眞常尊者 -
한국불교학
2015 .01
삼별초의 항파두리 토성 입거와 전략적 활용
역사민속학
2015 .03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노르웨이의 숲(ノルウェイの森)』론 - 등장인물들의 자폐적 성향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22 .02
재난과 음악-동일본대진재 사례연구-
일어일문학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