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예니 (청운대학교)
저널정보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제15집
발행연도
2018.6
수록면
86 - 116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영화는 시공간의 제약이 있는 장르적 특징으로 인해 각색이 이루어질 땐 압축과 생략, 그리고 소설 속 ‘불확정 영역(areas of indeterminacy)’에 대한 영상화를 통해 영화만의 세계관을 형상화한다. 영화〈토지〉의 경우 소설『토지』가 가지고 있는 대중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제작된 영화로 영화〈토지〉가 가진 소설과는 다른 부분들을 분석하면 소설토지에서 어떤 요소를 대중적 요소로 파악하고 영화화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영화〈토지〉의 원작과는 다른 특징 중 첫 번째는 소설 속 애정문제를 성관계를 중심으로 선정적으로 묘사하면서 이에 대한 도덕적 비판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소설 속에서는 생략되고 절제되었던 장면들이 영화 속에서는 선정적으로 묘사되면서 이런 식의 묘사는 별당아씨에 대한 도덕적 비판을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두 번째는 하인들과 마을 사람들의 묘사가 전반부 후경화 되어 있다가 후반부에선 전면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전반부에서는 독자적인 존재감 없이 엑스트라의 수준이었다면 후반부에는 갑작스럽게 주동인물로 등장하면서 전반부와 후반부의 인물형상화에 일관성을 잃고 있다. 마지막으로 영화 후반부에는 몽타주 기법과 함께 나래이션이 나오면서 긴 서사를 압축하고 영화기법 상 새로운 스타일의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전후맥락 속에서 몽타주 기법이 돌출적인 장면이기도 하지만 몽타주 기법을 중심으로 후반부 서사의 현실감을 살리려 한다. 몽타주 시퀀스 전 농민들의 분노가 일제와 조준구에 대한 반대를 표명하는 당위적 수준이었다면 몽타주 시퀀스와 이후 농민들의 전투씬은 당대 현실에 대한 리얼리티를 보충하고 대중에게 스펙터클한 장면연출을 통한 장엄함을 느끼게 한다. 이는 대중에게 영화만이 줄 수 있는 새로운 재미로 다가갔을 것이고 이런 요인들이 영화〈토지〉의 흥행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특징을 종합하면 영화〈토지〉는 사랑과 결혼, 인간에 대한 성찰적 접근보단 성애의 자극적인 묘사와 선정성을 추구하면서 성적으로 타락한 여성이라는 이미지로 별당아씨를 묘사하면서 이를 도덕적으로 징벌한다. 하지만 용이의 혼외 정사들은 그의 사랑과 어쩔 수 없는 욕망의 문제로 치부되면서 항일투쟁이란 거대서사 속에서 별 응징 없이 수용되고 문제되지 않는다. 이는 남녀에게 다르게 적용되는 성 윤리관으로 보수적인 성윤리를 아무런 비판적 사고 없이 수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결국, 영화〈토지〉가 보여주는 대중성이란 에로티시즘의 전시와 스펙터클의 재현을 통한 영화적 재미의 실현에 있었다. 하지만 내용적으로 기존 현실의 보수적인 성윤리와 반일 감정을 그대로 투사하여 무비판적으로 영상화하고 이를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방식으로 제시한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목차

국문초록
Ⅰ. 소설과 영화의 만남이 갖는 의미
Ⅱ. 1970년대 한국영화산업과 영화 〈토지〉
Ⅲ. 영화〈토지〉의 변형적 각색과 그 의미
Ⅳ. 영화〈토지〉의 에로티시즘과 스펙터클 spectacle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802-003112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