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Footing shift / Stance shift 분석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토론문]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에서 교사-학습자간의 상호작용 특성과 확장성 고찰 : MOOC상에 나타난 중개자(staff)의 특이한 identity 현상 고찰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4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with MOOC for L2 Learning: A Case Study
현대영어영문학
2019 .01
대학의 대규모 온라인 공개강좌 활용과 윤리적 쟁점들
윤리연구
2021 .12
중국에서 한국어 무크 발전 방향성 연구 - 한국어 무크의 구축 및 사용 상황에 관한 조사를 기반으로 -
언어와 문화
2019 .01
온라인 공개수업(MOOCs)을 통한 종교교육 현황과 특성
종교교육학연구
2023 .02
무크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중국에서의 <한국어 입문> 강좌를 중심으로 -
화법연구
2019 .01
MOOC 학습활동이 대학생의 영어 학업성취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어영문학21
2021 .09
MOOC 기반 학습이 대학생의 영어 성취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언어과학연구
2017 .09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 한국어 수업의 상호작용 양상 고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19 .01
한국어 교육을 위한 대중 공개온라인 강좌(MOOC) 개발의 원리와 실제 - ‘Learn to Speak Korean 1’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16 .01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확산
한국학논집
2020 .03
K-MOOC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법론 연구 - 문화콘텐츠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
언어와 문화
2019 .01
Teaching the University ESP Course with the MOOC Component: Putting Ideas into Practice
Journal of Asia TEFL
2019 .01
K-MOOC 튜터의 역할과 역량 - 한국어 강좌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1 .08
온라인 통번역 교육 콘텐츠 설계와 개발 사례 연구 – 케이무크(K-MOOC) 강좌 개발과 운영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2023 .02
K-MOOC 활성화를 위한 교수법 수업모형 개발: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 논총
2023 .06
게이미피케이션과 마이크로러닝을 활용한 K-MOOC수업이 몰입과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과교육
2023 .05
グローバルMOOCsにおける日本語発音オンライン講座 ― 韓国人学習者および教師を対象とした調査から ―
일본어학연구
2020 .03
[소설] 가장 낮은 존재들의 중개자
문학들
2024 .08
마이크로러닝을 고려한 온라인 한국문화 강좌 개발 사례 연구 -K-MOOC 강좌 운영을 중심으로-
어문학
202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