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전사(前史): 한말 근대 한의학 교육기관 설립의 논의와 동향
3. 1910-1920년대 민간 한의학 강습소: 전문성, 실용성 및 동서절충의 지향
4. 민간에서 관립으로, 1930년대 이후 한의학 교육 체제의 공식화와 공고화
5. 맺음말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의학’, ‘한약’, ‘한의사’에 대한 인식 연구 - 네이버 뉴스 말뭉치를 중심으로 -
동아인문학
2024 .12
라이프스타일의학의 관점에서 본 불교
동아시아불교문화
2021 .12
통일 신라의 임상 의학은 어떻게 이뤄졌을까: 의학 교육 기관 ‘의학(醫學)’의 설치와 그 영향
의사학
2023 .04
의학교육에서 의료인문학의 가치: 의사학을 중심으로
의사학
2022 .12
“Medicine of the Grassroots”: Korean Herbal Medicine Industry and Consump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의사학
2020 .04
『주역』에 담긴 한의학의 이치와 맹아 고찰 - 윤창열의 『醫易學』과 이준천⋅소한명의 『醫易會通精義』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23 .03
조선 후기 의학의 표면과 이면 - 의학 지식 체계를 중심으로 -
의사학
2021 .04
한의학 병명의 현상학 : 인류학적, 현상학적 접근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5 .12
공감이 의학에 끼치는 영향과 의미
인문과학
2020 .01
1970~80년대 ‘사회의학’의 실천과 신천연합의원의 설립
인문논총
2024 .08
의학은 어떻게 철학과 만나는가 : 캉귈렘의 의철학, 의학적 현상학 및 해석학을 중심으로
인간·환경·미래
2017 .04
13세기 중반~15세기 전반 갈레노스 의학에 대한 서유럽 의학계의 인식: ‘의학 르네상스’ 용어 사용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서양중세사연구
2024 .09
한국 근현대의료사의 연구동향과 전망(2010-2019): 사회사적 관점의 부상과 민족주의적 이분법의 약화
의사학
2020 .08
1910년대 한의학의 전회(轉回) -전통(傳統)에서 회통(匯通)으로의 변환
공존의 인간학
2020 .02
미키 사카에의 연구와 생애를 통해 본 한일 의학 관계사
의사학
2020 .12
가려진 의생단체의 모습 ― 일제시기 동서의학연구회를 다시 보다 ―
사림
2017 .01
기독교 성서의 치유 전통과 생의학 - 의료인류학적 관점에서 -
종교연구
2021 .04
삶의 건전성 확보를 위한 철학-의학 통합 패러다임 모색
孔子學
2021 .10
조선의 의학교과서 『의학정전』 체계와 판본 연구
漢文敎育論集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