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Ⅰ. 서론
Ⅱ. 핵억지 전략에 대한 이론적 배경
Ⅲ. 북한의 핵전략과 최종 목표
Ⅳ. 결언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미국의 국가안보와 핵억지 전략의 변화: 트루먼-트럼프 행정부까지
세계지역연구논총
2019 .01
베트남 전쟁 중 미국의 핵무기 불사용 요인에 관한 연구 : 자기억제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군사학논집
2019 .10
북한·인도·파키스탄의 핵무장 정책 동인을 통해 본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 가능성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2018 .01
1970~1980년대 중국의 핵전력 강화 노력과 핵 억제전략
한국군사
2022 .06
전략무기 증강에 따른 북한 핵전략의 분석
한국군사학논집
2021 .02
North Korea’s Evolving Nuclear Strategy under the Pretext of Minimum Deterrenc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eninsula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2015 .01
북한 핵무장에 대비한 대한민국 핵억제전략 연구 - 핵보유 국가들의 핵무장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2016 .01
The Evolution of North Korea’s Nuclear Deterrence Doctrine : Implications for nuclear negotiations
IFANS FOCUS
2017 .06
점증하는 북한의 핵 위협과 한미 대응
한국국가전략
2023 .03
Sino-DPRK Relations after North Korea’s Fourth Nuclear Test
IFANS FOCUS
2016 .02
북한의 핵무기 사용가능성에 대한 전망과 군사적 대비방향
한국동북아논총
2022 .12
The Case for Theater Nuclear Deterrence in South Korea
Global Asia
2023 .03
미국의 확장억제 강화방안: 북한 전술핵 위협과 한미 통합 핵억제를 중심으로
국가안보와 전략
2023 .06
Sino?DPRK Relations and Chinese Perception toward North Korea’s Nuclear Issue: Meta-Analysis on Chinese Literature since 2012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20 .01
북핵위기의 본질과 확장억제전략의 문제점
한국군사학논총
2017 .12
북한의 핵 · 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른 핵전략 변화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2022 .06
북한 핵증강론의 담론적 기원과 당론화 과정
국제정치논총
2017 .03
억제이론을 중심으로 저위력 핵무기 개발 및 함의에 관한 연구
선진국방연구
2021 .12
North Korea’s Growing Nuclear Threat: Implications for the U.S. Extended Deterrence in the East Asian Region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2017 .01
Strategizing for Deterrence Stability in South Asia: Looking for a Holistic Approach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