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20
2018
2017
국문초록
序論
第1章 先行研究の検討および問題の提起
第2章 研究方法
第3章 結果と考察
結論
参考文献
Abstract
日本語抄録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日韓中対照からみた日本語の談話構築態度 : 発想と表現の差を説明するモデルの検討
일본연구
2019 .02
国際調査からみる日韓大学生の依頼談話意識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9 .09
依頼談話における言いさし表現「けど」に関する考察 -機能と負担度に着目して-
일본문화학보
2020 .08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自己開示の研究 : 自己開示の発話内容を中心に
일본어학연구
2016 .09
일본어 감정표현에 관한 연구 –‘좋음’과 ‘싦음’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国際調査からみる日韓大学生の依頼談話意識
일본어학연구
2019 .12
재난방송에서의 행위지시표현의 사용실태 -폭우특별경보(大雨特別警報)의 기상청회견 담화의 분석-
일본연구
2025 .02
서비스 상황에서 한국인의 발화 개시 양상
언어학
2020 .01
<共話>の出現状況の一考察 : 先行発話に対する聞き手の情報所有の観点から
일본어학연구
2016 .12
パラオ人の日本語に見られる談話の特徴 : ターン交替時の発話を中心に
일본어학연구
2016 .06
濟州方言 談話標識 ‘계메’의 韻律的 特性과談話的 機能의 相關關係
어문연구(語文硏究)
2015 .12
日本語母語話者による意見表明の発話末の様相 - 緩和機能と働きかけ機能に着目して -
일본어학연구
2022 .06
日韓語のナラティブにおける話し手の発話類型 ₋聞き手の反応を誘導する発話を中心に₋
일어일문학연구
2021 .11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聞き取り能力に関する考察 - 文単位の調査から -
일본어학연구
2025 .03
日本語学習者の持つ発音学習ストラテジー
일어일문학
2022 .05
일본어 감정표현 ‘놀람’에 관한 연구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初対面接触場面における自己開示後の受け手の発話 :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と日本語母語話者の会話をもとに
일본어학연구
2017 .12
日本語学習者の発音における自己モニター行動
일어일문학
2021 .05
일본어 감정표현의 발화유형 사용양상
일본어학연구
2015 .03
타자발화 반복의 대화 참여 및 감상 표시 기능 -한일 양국어의 일상대화 분석을 통해-
日本語敎育
2024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