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22
2021
2018
1. 연구목적
2. 조선의 중등학제
3. 조선의 교육령기에 따른 국어교과서 사용
4. 대만의 중등학제
5.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일본어 수업 설계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4 .11
안중근 의거에 대한 한국의 인식 - 일제강점기, 한국 내 일본어 신문을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2 .04
『조선시보』를 통해 본 일제강점기 스포츠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0 .11
일제강점기 여성 독립운동의 재인식
내일을 여는 역사
2015 .06
국어 국정교과서와 국어 이데올로기 - 각 시기별 국어 국정교과서 편찬의 역사를 중심으로 -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4
일제강점기 조선아동의 南洋群島 인식 : 조선총독부 편찬 <일본어> <지리>교과서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일본어교과서 8종의 삽화분석 연구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1 .11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일본어 교육의 실태 - 사회적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인문사회과학연구
2021 .08
강점기의 사전 : 일본어 사전과의 교섭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8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동시의 변화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
2019 .01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일본어교육의 통사적 연구
일어일문학
2023 .08
‘모빌리티’와 새로운 ‘젠더’의 가능성 - 현행 한국 『고등학교 일본어Ⅰ·Ⅱ』와 일본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안의 시각텍스트 비교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2 .04
近代韓ㆍ日ㆍ臺灣의 국정교과서에 ‘天皇’으로 표상된 帝國의 식민교육 -1910년대 초등 <일본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23 .11
해방기 국어교과서와 청년담론 : 『중등국어교본』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2017 .03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교육 내용 분석 : 중학교 교과서 읽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7 .03
중학교 생활일본어에 나타난 발음 요소 분석 : 2015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9 .03
전국국어교사모임, 다시 교과서를 만들다 : 2022 교육과정 전국모 교과서 개발 이야기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4 .07
일제강점기 제1차 간이학교 국어독본의 어휘 고찰 - 제3기 『보통학교 국어독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1 .04
일본IT 분야 학생 진출을 위한 일본어학부 일본어알고리즘 교과운영 사례와 일본어전공 강화에 관한 연구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8 .04
“강점기의 사전: 일본어 사전과의 교섭”에 대한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