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문선 (이화여대)
저널정보
한국번역학회 번역학연구 번역학연구 제19권 제1호
발행연도
2018.3
수록면
247 - 276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hedges in Korean-English consecutive interpreting to find out how the intended functions of hedges used in ST(Korean) are realized in TT(English). A small corpus of consecutive interpreting conducted at an earnings conference call was analyzed. Hedges in ST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four functions: mitigation and limitation, possibility and assumption, vagueness, and numeric approxim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over sixty percent of hedges used to indicate mitigation and limitation, possibility and assumption, and numeric approximation were preserved in TT, while a mere thirteen percent of hedges used to indicate vagueness were kept in TT. It was revealed that most of vagueness hedges were removed and the items accompanying vagueness hedges in ST were made more explicit. This suggests that hedges are tre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function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4. 결과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