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들어가며: 푸코와 캉길렘, 하나의 전통?
1. 과학과 주체: 『정상과 병리』와 『임상의 탄생』의 논쟁
2. 비샤: 죽음과 생명
3. 유전자와 오류: 주체
결론: 방황하는 생명주의의 전통과 프로그램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푸코 윤리학의 관점에서 조명한정상성의 본질 연구
현대유럽철학연구
2024 .01
존재론적 푸코 - 『푸코』 읽기 -
철학∙사상∙문화
2017 .06
르네 르센의 철학이 청년 조르주 캉길렘에게 미친 영향
철학논총
2024 .10
주체에 대한 푸코의 바깥의 사유
현대유럽철학연구
2019 .01
푸코 철학의 한계-조건- 『 말과 사물』을 중심으로
철학논집
2024 .08
푸코 사유체계에서 자유의 위상
철학논집
2022 .02
칸트적 ‘근대’에서 니체적 ‘현대’로— 에피스테메 변형의 관점에서 본 푸코의 칸트 해석 —
개념과 소통
2017 .01
푸코와 생명정치
시대와 철학
2022 .09
푸코의 고고학과 하이데거의 존재사적 사유에서 철학적 자기 정당화의 문제
철학
2018 .11
통치 받지 않을 자유 : 미셀 푸코의 마지막 5년
코기토
2022 .06
미셀 푸코의 권력모델의 변화와 비판의 의미: 전쟁에서 통치성으로
대동철학
2018 .12
푸코의 니체 활용에 대하여 : 니체의 ’힘에의 의지’로부터 푸코의 ’권력/지식의 효과’로
사회와 철학
2019 .10
규율권력, 통치, 주체화 -미셸 푸코와 에로스의 문제-
가톨릭철학
2017 .01
푸코와 68혁명 : 사건이 아닌 경험, 신화가 아닌 비판으로서의 혁명
사회와 철학
2018 .10
‘지식의 의지’ 개념 분석을 중심으로 한 푸코와 니체의 사상적 관계에 대한 고찰
철학
2019 .05
의학은 어떻게 철학과 만나는가 : 캉귈렘의 의철학, 의학적 현상학 및 해석학을 중심으로
인간·환경·미래
2017 .04
마르크스와 알튀세르 사이의 푸코
철학사상
2018 .05
생명정치 시대의 신학- 푸코와 아감벤의 생명정치론을 중심으로 -
신학과 사회
2016 .01
푸코와 (탈)식민주의: 공간・지식・역사
韓國史學史學報
2017 .01
푸코-데리다 광기 논쟁을 통해 본 데카르트라는 사건
철학
2018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