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다산 정약용 일가(㊀家)의 신유년(辛酉年), 1801
2. 정난주(마리아)의 제주 유배생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다산 정약용의 삶에서 행복담론과 윤리교육적 함의
윤리연구
2020 .01
다산 정약용의 역사인식과 토지론
다산과 현대
2019 .12
다산 정약용의 강진 유배생활과 「하피첩」
다산과 현대
2016 .12
새자료 정학유의 흑산도 기행문「부해기(浮海記)」와 기행시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雲養 金允植의 면천유배기 한시 一考
漢文古典硏究
2021 .01
조선의 유배형과 다산 정약용
다산과 현대
2016 .12
다산 정약용의 제화시 연구
동양학
2021 .01
다산 정약용의 강진 유배와 문학적 형상화 -소설 목민심서, 다산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019 .01
조선후기 유배인의 서간(書簡) 토론 - 다산 정약용과 손암 정약전의 교류를 중심으로 -
기전문화연구
2020 .01
인간 정약용
수필미학
2018 .06
장기(長鬐) 유배기 다산(茶山) 시의 향방(向方)과 성격
한국문학논총
2021 .12
예수는 순종의 마리아가 아닌, 반역의 마리아에게서 태어났다
제3시대
2018 .01
7인의 누이와 40인의 조카
월간에세이
2022 .07
제주도
수필미학
2023 .12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독해법과 공직자의 청렴
다산과 현대
2017 .12
다산 「惜志賦」에 대한 고찰
퇴계학보
2020 .01
인심(人心)에 내재한 개인성(個人性) 고찰? 다산 철학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2020 .01
불평등과 양극화 시대에 생각하는 다산 정약용의 사회이론 : ‘위민’과 ‘토지개혁론’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2018 .12
백운동 별서정원과 다산
다산과 현대
2015 .12
다산 정약용의 자기치유와 행복관
철학연구
2016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