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이천 년대 문학사건
2. 애도: 추모의 윤리적 담론
3. 애도의 사적 윤리: 이천년 이전 추모시
4. 애도의 공적 윤리: 이천 년대의 추모시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추모(추도)예식의 애도상담적 접근
선교와 신학
2022 .02
추모공간 환경설계와 죽음 교육프로젝트 실행 탐색
종교교육학연구
2020 .01
[추모시] 저만치 가고 이만치 오려고
시조시학
2021 .08
[추모시] “셔?”를 다시 읽으며
시조시학
2023 .06
국가적 재난에 따른 사회적 추모와 종교교육학적 성찰
종교교육학연구
2023 .06
[추모시] 그 부신 문장이여!
시조시학
2021 .08
[추모시] 천생시인에게
시조시학
2023 .06
최승자 시에 나타난 애도 양상과 그 의미
人文科學硏究
2019 .01
죽음과 애도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및 접근
신앙과 학문
2024 .09
박인환 시에 나타난 애도와 멜랑콜리 - 1930년대 문인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0 .06
부모의 죽음을 주제로 한 동화 속 애도 과정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
2022 .04
[추모 산문] 신경림 선생님을 추모하며
푸른사상
2024 .09
TV드라마 <마을-아치아라의 비밀>에 나타난 애도의 정치적 상상력
한국문예비평연구
2017 .01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의 죽음에 대한 애도 : 프로이트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25 .03
[추모글] 한순자 선생님을 추모하며
숙명문학
2017 .11
제사 의례로 추모되는 제주 여성의 역사⋅문화적 의미 - 김만덕, 고씨, 박씨, 홍윤애를 중심으로 -
탐라문화
2020 .01
[추모시] 폭설
문학들
2019 .02
새로운 존재로의 여정: 발달적 애도
목회와 상담
2020 .01
보헌 장기덕 선생의 생애 고찰 - 추모시를 중심으로 -
어문론집
2021 .06
[추모시] 다시, 모란
시조시학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