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경훈 (아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현대정신분석 현대정신분석 제23권 제2호
발행연도
2021.8
수록면
111 - 150 (40page)
DOI
10.18873/jlcp.2021.08.23.2.111

이용수

DBpia Top 0.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프로이트-라캉의 관점에서 말하면, 애도와 멜랑콜리아 모두 사랑 대상의 상실에 대한 반응이다. 사랑의 대상은 충동이 그 주변을 순환하고 리비도가 투여된 대상이며 대상a로서/처럼 상상계, 상징계, 실재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자아의 상징 세계의 토대이다. 대상에 대한 리비도가 다른 대상에게 재투여되면 애도는 극복된다. 멜랑콜리아는 사랑과 미움의 양가적 리비도 대상을 상실한 후 대상을 내사하고, 이를 자아와 동일시하여, 자아가 분열된 매우 고통스러운 정신병리이다. 주체는 대상에 대한 환상구조(S/ ⃟ e(a)) 속에서 주이상스를 갖기에 치료가 어렵다. 클라인에 의하면, 우울 위치에서 아이는 사랑하는 엄마에 대해 공격성, 두려움, 죄책감 등 우울불안을 갖는데, 성인 주체의 우울증은 어떤 경험을 계기로 이 우울 위치가 다시 활성화된 것이다. 주요 우울증은 여러 증상을 갖는데 신경과학은 보통 증상 하나의 신경생물학적 원인 규명에 집중하기 때문에 포괄적인 증상을 갖는 주요 우울증의 원인에 대한 신경과학적 합의된 이론은 없다. 하지만 신경과학은 일부 증상의 원인 메커니즘을 밝히고 증상완화에 도움이 되는 약물을 개발하는 큰 성과를 이루었다. 이 시대의 주요 정신병리인 우울증에 대한 보다 나은 연구를 위해서는 정신분석학과 신경과학의 통합을 지향하는 신경정신분석(Neuropsychoanalysis)이 필요하다.

목차

한글 초록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