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14세기 후반∼15세기 초반 동아시아 세계의 지각변동
Ⅲ. 한국과 중국 사이의 力學關係와 관계설정의 변동
Ⅳ. 明初 對外 政策의 變化와 聯動하는 韓中關係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0~12세기 조공·책봉체제의 실태와 변용에 관한 연구
역사문화연구
2021 .01
16세기 초중반 한중관계의 이념성과 중층성
동양사학연구
2017 .09
세조대 공안(貢案) 수록 내용의 확대와 재정적 위상 강화
역사와현실
2018 .12
‘중화제국질서’를 둘러싼 논의의 확산과 수렴 - 조공체제론과 다중체제설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2018 .01
명초 외교제도의 성립과 그 기원 - 고려-몽골 관계의 유산과 그 전유(專有) -
역사와현실
2019 .09
藤原宮の御井の歌
일본연구
2015 .02
고려시대 국왕 관련 의례 연구의 성과와 제언
동방학지
2019 .01
12세기초 송의 책봉 제의와 고려의 대응
동국사학
2016 .01
17세기 후반의 한중관계와 동아시아 : 1644~1700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4
김경선의 『연원직지(燕轅直指)』에 기록된 류큐관련 기사와 류큐정보
동아시아고대학
2021 .09
Tributary Activities of Vietnam and Korea with China: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1 .02
실행과 실천의 의례 언어
동서철학연구
2019 .01
일상에서 나타나는 조직문화 사례연구 : 의례적 관점을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2015 .06
고구려와 중국의 초기 使臣往來 기사 분석 : 漢·魏·吳를 중심으로
신라사학보
2018 .12
정묘호란 이후 조선에 대한 명의 貢路⋅貢期 변경 및 조공사행 통제 강화
민족문화연구
2024 .05
위기에서의 선택 —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의 정책 결정 논평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2 .03
청동기시대 儀禮 연구와 그 방향성
한국청동기학보
2023 .04
고대 韓・日 사료에 보이는 〈盟約〉
한일관계사연구
2020 .02
몸의 기억과 의례의 시간
장신논단
2022 .06
문화와 공동체를 바꾸는 힘, 치유의례에 대한 연구
목회와 상담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