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I. 들어가는 말
II.『전습록』에서의 무(無)의 함의
III. 『전습록』에서의 선 · 악의 문제
IV.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陽明學의 無善無惡義 : 의미와 전개, 그리고 비판을 중심으로
양명학
2017 .08
용선악(勇善惡) 개념 정립을 위한 동해안무가 분석
구비문학연구
2017 .01
무아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의 양상들__니까야(Nikāya)에 나타나는 ‘실천적 무아’와 비교를 위한 시론__
인도철학
2017 .01
New Analysis ofWang Yangming’s Four Dicta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7 .02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II
불교학연구
2022 .03
以《周易》来看儒家的善恶思想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5 .10
악은 선으로부터 시작 된다 — 정호의 善惡皆天理에 대한 주희의 해석 —
동양철학연구
2019 .01
선악을 수행하는 의지와 이성 고찰 -『논어』를 중심으로-
인문과 예술
2019 .01
악과 폭력에 관한 형이상학적, 정치신학적, 정신분석적 연구 : 아우구스티누스의 선악 이론 및 신정론과 그것에 대한 리쾨르, 루소, 칸트, 클라인 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현대정신분석
2017 .02
眞表律師와 ⽅等戒壇 - 『占察善惡業報經』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
2018 .01
수막새에 새겨진 선악의 철학 —신라의 미소, 수막새를 통한 고찰—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아시아 선악형제담 비교연구-‘놀부와 흥부’?‘황금수박’ 유형을 대상으로-
열상고전연구
2020 .01
惡性과 善性 사이 ― ≪三言≫ 속에 나타난 ‘善惡竝存’ 인물 연구
중국어문논총
2015 .06
니까야에 나타나는 무아(anattan)의 용례와 의미
동아시아불교문화
2020 .01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I
불교학연구
2021 .12
[신인상 소설 부문 심사평] 선악의 대물림 구조 속에서 돋보인 5·18민주화운동 정신
문학들
2023 .05
한당시대 유학에서의 선악개념의 변화양상
양명학
2020 .09
<흥부전>에 내재된 권선징악의 함정 : ‘富者’와 ‘貧者’를 향한 당대의 요구
어문학
2017 .12
무아의 부정 대상-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
2023 .06
악에 대한 환원주의적 해명에서 통전적 전환으로: 리쾨르의 악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신학논단
202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