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高麗시기 등고시 창작 배경
3. 高麗 · 唐시기 중양절 등고시 비교
4. 결론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古代朝鮮半島の国名を付した「国記」について : 編纂とその背景をめぐって
동서인문학
2015 .12
Analysis of July Seventh Poetry Transition between 8~11th Century around East Asia - The Critical Point of Time Hei’an Era -
일본문화연구
2023 .10
明代 詩選集을 통해 본 唐詩에 대한 지식의 창출과 수용
중국문학
2018 .01
근대 중국의 唐詩 읽기와 정전으로서의 ‘唐詩’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11
근대 중국의 唐詩 읽기와 정전으로서의 唐詩
중국어문논역총간
2022 .01
절정부란 무엇인가
PAPER
2019 .06
勅撰漢詩集 『經國集』 所載 悲秋詩 연구
용봉인문논총
2021 .01
遣唐使 語義의 재발견과 그 함의
대구사학
2020 .01
祝詞(のりと) · 宣命(せんみょう)의 助詞「ト(止/等/登)」
일본문화학보
2025 .02
任半塘 《唐戲弄》<總說> ‘晩唐’ 부분 譯註
중국어문논역총간
2017 .07
역대하 36장 21절과 22절-23절의 통일성 연구
피어선 신학 논단
2016 .02
다시, 문학지
자음과모음
2019 .03
[문학] 문학이 해야 할 일
창비어린이
2015 .06
문학의 밤 외 1편
시조시학
2022 .12
문학의 일, 문학은 일
자음과모음
2020 .03
지나치게 문학적인
번역하다
2022 .04
다음 책도 문학이기를
번역하다
2022 .03
밤, 항구 그리고 울음 - 박현덕, 『밤 군산항』(문학들, 2020)
시조시학
2020 .06
다니엘서 12장 1절부터 3절의 문학적 기교와 신학적 교훈
복음과 실천
2015 .05
시공간의 상상력
월간에세이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