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논문초록
I. 서론 :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역사적-신학적 접근의 필요성
II. 사회민주주의의 대두와 성장, 주요 논점들
III. 아돌프 하르낙의 사회민주주의 이해
IV. 칼 바르트의 사회민주주의 이해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활성화
한국민족문화
2020 .11
칼 바르트의 신학과 사회주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로마서 주석 2판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01
심의민주주의의 이론적 보완 가능성에 대한 검토 : 밀의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5 .01
칼 바르트의 민주주의 이해 : 교회의 실천적 과제로서의 민주적 법치국가
한국조직신학논총
2023 .03
생명과 생태를 생각하는 대안적 민주주의로서의 생태민주주의
생명연구
2018 .02
민주주의는 ‘자유’민주주의다
철학과 현실
2019 .03
자유민주주의 대 민주주의
내일을 여는 역사
2015 .03
1910-20년대 초 신지식층의 민주주의 인식과 현실활용 -일본유학생과 동아일보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2017 .01
대의 및 참여 민주주의의 전개 양상과 쟁점 탐색
윤리연구
2023 .06
1950~60년대 자유민주주의 개념의 궤적?『사상계』를 중심으로 ?
개념과 소통
2021 .01
개신교 신학의 가톨릭적 수용 가능성: 칼 바르트와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신학적 대화를 중심으로
신학과 철학
2016 .01
Sung-Bum Yun’s Theology of Sung (誠): Focusing on the Confucian Concept of Sung as Christ in relation to Karl Barth’s Christocentric Theology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22 .07
남북 통합의 이념적 토대로서 민주주의 : 해방정국의 민주주의 담론 분석과 그 재구성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17 .12
근대 민주주의의 역설과 랑시에르 민주주의 논의의 함의 : 영화〈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24 .09
교리, 복음을 토대로 한 그리스 정신의 작품? ― 하르낙의 『교리사 교본 I』을 통해 본 교리와 복음의 이해
한국조직신학논총
2018 .01
민주주의와 전통윤리의 만남
대동철학
2017 .12
과학기술문명 시대의 포스트-바르트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향한 프롤레고메나
조직신학연구
2019 .01
신학의 원리인 삼위일체 하나님: 부카누스와 바르트를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
2019 .01
민주주의와 대표성
철학논총
2023 .10
자유민주주의의 위기와 민주주의의 두 가지 대안: 숙의민주주의와 급진민주주의 연구
대동철학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