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화를 읽다-10회] 나는 좀 살아야겠다
월간에세이
2022 .10
[영화를 읽다] 해는 졌지만, 나는 지지 않았다
월간에세이
2022 .01
영화를 찍다
수필미학
2016 .12
[영화를 읽다-19회] 굽이굽이 돌아도 멈추지 않는다
월간에세이
2023 .06
[영화를 읽다] 잘 지내고 계신가요?
월간에세이
2022 .03
체홉과 영화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6 .10
[영화를 읽다-3회] 영화 속 가장 기이했던 이미지
월간에세이
2023 .11
1960년대 문화영화 정책과 그 방향
역사연구
2020 .05
한·중 영화 교류의 역사와 미래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민족-영화’ 개념의 변천 : ‘조선영화’에서 ‘코리안시네마’까지
탐라문화
2017 .10
플랫폼은 영화 다양성을 살릴까? : 코로나19로 초래된 영화시장의 플랫폼 변화와 영화 다양성 증진을 위한 법적 접근
황해문화
2020 .09
상상의 모양, 영화적인 것과 영화적 세계 사이 (영화의 탈매체성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8 .10
[영화: ‘PAPER스러운’ 영화를 소개합니다] 타자 치는 스누피가 선별한 네 편의 ‘PAPER스러운’ 영화
PAPER
2020 .12
[영화를 읽다] <우리들>
유레카
2016 .11
[영화를 읽다-5회] 꿈꾸는 존재이기에 쓸 수 있는 것들
월간에세이
2024 .01
영화대국을 향한 꿈과 현실의 간극 - 1950년대 중국영화를 중심으로
중어중문학
2025 .03
유럽, 북미에서 한국영화의 경쟁력 요인 연구 : 외국인 전문가 심층 면접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24 .06
[작품읽기] 나쁜 영화 외
수필미학
2022 .09
매체 전환의 의도와 효과-『세동무』, 『젊은이의 노래』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2020 .03
중국의 청년 감독 원무예(文牧野)와 그의 영화세계
인문학연구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