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凌文超 (中國 社會科學院歷史硏究所) 송진영 (中國 北京師範大學)
저널정보
한국목간학회 목간과문자 목간과문자 제17호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127 - 158 (3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문에서는 簿書를 해석하는 범주에서 吳簡 중 보이는 簽署·省校 및 勾畫符號(약호略號)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調布入受莂’에 서명된 ‘祁’는 아마도 臨湘 侯國 丞 祁의 친필 서명일 것이다. ‘庫入受莂’ 중 ‘丞弁關’은 佐吏가 대신 서명한 것으로 보이며, 이 두 가지는 모두 권위성과 효력을 지니고 있다. ‘户品出錢簡’에서 (臨湘)侯相의 아래 부분에 적힌 校記 ‘ ’는 臨湘 侯相 ‘管君’ 혹은 屬吏가 ‘户品出錢簿’를 감사한 후 서명한 것이고, ‘已核’(이미 감사됨을 의미함)이라고 한다. ‘襍錢領出用餘見簿’에서 흔히 보이는 ‘朱筆涂痕’(빨간색 긴 선)은 장부의 유통내역 대조가 끝났다는 약호이고, 校記 ‘中’의 역할과 기본적으로 비슷하며 ‘符合·正確(부합함과 정확함)’을 의미한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서명
III. 검사·수정
IV. 약호(略號)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911-001997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