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석현 (경북대학교)
저널정보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철학논총 제105집
발행연도
2021.7
수록면
299 - 318 (20page)
DOI
10.20433/jnkpa.2021.07.29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주역(周易)』에 있어서 64괘(卦)의 의미를 원리적인 차원에서 구체화해 보려고 한다. 그런데 64괘는 팔괘(八卦)의 중첩이기 때문에 팔괘의 의미로부터 그것의 의미를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해서는 몇 가지 문제가 있는데, 즉 앞일을 예측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왜 다른 괘가 아닌 64괘를 사용하게 되는지, 그러한 괘를 해석하기 위해 필요한 형상을 왜 상괘(上卦)와 하괘(下卦) 간의 관계상에서 유추하게 되는지, 또 괘와 효(爻)는 왜 묻고자 하는 일과 관련해 다가올 상황[時]과 그 속에 놓이게 될 점자(占者)의 처지[位]를 상징하는 관계가 되는지 그래서 괘 해석방법은 괘가 상징하는 상황[時]과 효가 상징하는 처지[位] 간의 역학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 관점에서 체계화되어야 하고, 괘 획득방법은 하나의 절차과정 속에서 괘와 효를 동시에 얻어낼 수 있는 관점에서 완성되어야 하는지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논자에 의해 앞서 연구된 팔괘의 성립과정에 따른 그 의미에 관해 상기해 본 후, 이들 문제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64괘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있다. 즉 64괘는 팔괘의 변화과정을 64단계로 구분한 것으로 이 64단계에 있는 대상들 또는 그 각 단계적 형상의 특징을 드러내는 대상들에 대한 상징이다. 그리고 전자는 통시적(通時的) 구분이며 후자는 공시적(共時的) 구분인데, 64괘가 앞일을 예측하기 위한 매개체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시적 구분에 따른 것으로 변화의 64단계에서 각 단계적 형상의 특징을 드러내는 대상들에 대한 상징이 된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괘와 하괘 간이 인간사의 상하지간[天地之間]이나 내외지간[主客之間]을 상징하게 됨에 따라, 그 64괘는 묻고자 하는 일과 관련해 다가올 상황[時]에 대한 상징이 되며, 그 속의 효들은 그 상황 속에 놓이게 될 점자의 처지[位]에 대한 상징이 된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팔괘의 성립과정과 의미
Ⅲ. 64괘의 성립과정과 의미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