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주희선 (Seoul Housing & Communities Corporation) 박수민 (Seoul National University) 정창무 (Seoul National University) 김상일 (The Seoul Institute)
저널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國土計劃 第51卷 第7號(通卷 第225號)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147 - 163 (17page)
DOI
10.17208/jkpa.2016.12.51.7.14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opulation of Seoul has kept on decreasing, and it is because of losing younger population influx, low birth rates, aging. And one of the main factor is high housing price. These social phenomenon severely affects low income households compared to mid- and high income households. Up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has tried to explore how low-income housing movement is different from mid- and high-income households’ in a city, and to analyze where low-income households tend to move actu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figured out that housing movement starting from Seoul has spreaded out to Gyeonggi province. Since Housing movement is chain reaction, there is a fear that the low income housing problems in Seoul can be spreaded out to Gyeonggi province.
To resolve the situation, government’s housing policy needs to be improved. First of all, housing voucher needs to be extended so that the low-income people’s anxiety can be reduced. Secondly, government’s support towards rental housing needs to be expanded. Last but not least, fair rental fe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to be applied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increase of housing rental fe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Ⅲ. 연구문제 및 가설설정
Ⅳ. 소득계층별 주거이동 현황분석
Ⅵ. 서울시 저소득 가구와 중고소득 가구의 주거이동 패턴 비교
Ⅵ. 수도권 저소득 가구의 주거이동
Ⅶ. 결론 및 시사점
인용문헌References

참고문헌 (4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539-002026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