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는 말
Ⅱ. 다윈과 카프카 진화생물학
Ⅲ. 헤켈과 카프카 진화생물학에서 우생학으로
Ⅳ. 크로포트킨과 카프카 사회다윈주의를 향한 고언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1세기 새로운 예술미학으로서의 메타모더니즘 : 워쇼스키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시리즈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17 .06
경험심리학적 미학으로서 에버하르트의 감정미학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015 .01
바흐만의 초기 문학에 나타나는 문화산업 비판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015 .01
하인리히 뵐의 보수적인 도덕주의자 연구
독일언어문학
2017 .01
18세기 후반 독일 출신의 러시아 여제 카타리나 2세가 독일과 러시아의 관계에 있어 발휘한 역할과 영향
독일어문학
2017 .01
디지털 매체와 이동의 시대, 정체성의 문제와 환상성의 부활 - 다니엘 켈만의 <명성>과 스티븐 울리의 <아담의 푸가>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5 .01
현대의 야만성에 나타난 신화와 계몽의 유희- 이성 중심 사회에 대한 문학적 성찰
독일어문학
2015 .01
계몽주의 시대 통합적 인간학의 사유방법론 연구
괴테연구
2015 .01
헤르만 브로흐의 시대인식과 예술관 - 에세이 「호프만스탈과 그의 시대」를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2019 .01
독일문화와 실크로드의 관계 연구- 19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상황 및 차후 전망에 대하여
독일어문학
2016 .01
프로이트의 메타심리학적 시도와 정신기관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16 .06
독일의 기억문화-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팀의 <내 형을 예로 들어>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6 .01
폭력과 타자의 윤리학 - 브링크만의 『고지라』와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화권연구
2015 .01
학문의 경계와 통합, 그리고 인간 - 실러의 '보편사란 무엇이며 어떤 목적으로 연구하는가?'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5 .01
무라카미 하루키의 「사랑하는 잠자」 : 카프카의 「변신 Die Verwandlung」읽기를 통한 문학적 재생산
카프카연구
2015 .06
19세기 독일문학에서의 가족과 사회의 긴장관계- 클라이스트의 『O 후작부인』과 폰타네의 『에피 브리스트』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7 .01
<생전유고>의 맥락에서 재고해 본 로베르트 무질의 「지빠귀」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015 .01
추락과 화해로서의 귀향 – 페터 슈나이더의 ‘포스트통일 소설’ 『에두아르트의 귀향』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19 .01
전후 독일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슐링크의 인식 - <책 읽어주는 남자>, <주말>, <귀향>을 중심으로
유럽사회문화
2019 .01
테크놀로지와 정신적 거인주의- 필레몬과 바우치스의 죽음을 통해 본 에른스트 윙어의 괴테 수용
괴테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