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소진광 (가천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8권 제5호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1 - 28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ime and space focusing on the case of Saemaul Undong in Kore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For this, the framework to identify time dimension and spatial context is reviewed first, and will be applied to those experiences of Saemaul Undong. The framework applied in this paper is basically based on time geography and diffusion theories developed in the academic circles already. Diffusion theories developed by Lund Associations led by Hägerstrand are somewhat different from evolution processes on Darwinism in that the objects of diffusion are beyond changing their contents and diffusion process is not free from distorting in time dimension. However, the practices of Saemaul Undong in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as in Korea show the evolving process by applying or mixing varieties of success stories in various fields in Korea from 1970s. In this line,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ose practices of Saemaul Undong not only from diffusion processes, but also from the evolution point of view. In brief, those interactions between time and space in the practices of Saemaul Undong show evolving process by adapting human activities to each environments on Darwinism.

목차

Abstract
1. 들어가는 말
2.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용: 진화론적 관점에서의 분석틀
3. 혁신발생: 한국의 지역사회개발 배경과 새마을운동의 태동
4. 새마을운동의 확산
5. 새마을운동의 진화
6. 맺는 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59-001991841